금강과 영산강 유역의 시·군과 주민, 환경단체는 대체로 강을 살리기 위한 방안을 존중하고 수용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금강의 보 주변에선 지하수위 하락과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야당의 의견은 엇갈렸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재자연화의 첫걸음을 내디뎠다며 크게 환영했다. 이와 함께 이번에 해체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백제보·승촌보는 물론이고, 금강과 영산강의 하류를 오염시키는 하굿둑도 개방·철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강유역환경회의는 22일 성명을 내어 “조사평가위가 제시한 보 처리 방안에 따라 해체 절차를 빠르게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공주보를 개방하는 바람에 농업용수가 부족해졌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양수 펌프를 아래쪽으로 낮춰 해결할 수 있다”며 지지했다.
20개 단체로 꾸려진 영산강 재자연화 시민행동도 “4대강 사업에 대한 정부의 대책 가운데 가장 진일보한 조처”라고 반겼다.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환경적·사회적 요인을 더 많이 고려했어야 한다. 고정보가 3분의 2인 승촌보를 해체하지 않기로 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시·군 지자체는 농사에 끼칠 영향을 점검하며 후속 조처에 관심을 나타냈다. 전남 나주시는 “죽산보는 해마다 녹조 때문에 몸살을 앓았고, 수위 상승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해체를 전제로 후속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세종보가 철거되면 수위가 낮아져 호수공원 등에 물을 공급하는 양화취수장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충남 공주시는 영농철 농업용수 확보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충남 부여군도 백제보의 상시 개방안을 두고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금강 공주보 상류의 300여 농가는 지하수가 고갈돼 농사 피해를 본다며 공주보 해체를 반대했다.
야당의 반응은 엇갈렸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문재인 정부가 ‘4대강 지우기’로 대한민국 보를 해체하는 것은 근대화를 해체하는 것과 다름없다. 강력한 대응을 위해 보 해체 관련 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보 해체 대책위원장을 맡은 정진석 의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정부가 보 폐기 작업에 착수하는 순간 지역구인 공주보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평화당 홍성문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금이라도 4대강 개발 문제에 대한 해답을 내놓은 점은 다행”이라며 “이번 평가에서 제외된 한강과 낙동강의 11개 보에 대해서도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광주 대전/안관옥 송인걸 기자, 이경미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