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구 월평동의 한 다가구주택에서 지난 22일 대전시청 공무원(오른쪽)이 빗물저금통을 점검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이 빗물을 재활용하고 땅으로 스며들게 해 물순환 기능을 되살리는 도시로 거듭난다.
대전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도시화에 따른 열섬현상 등을 완화하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을 확대한다고 25일 밝혔다.
시가 밝힌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은 일반 가정·소규모 사업장을 지원하는 빗물저금통 사업과 공공기관 등 대규모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저영향 개발로 나뉜다.
빗물저금통 지원사업은 지붕 면적 1천㎡ 미만, 건축면적 1만㎡ 미만이면서 50세대 이상인 공동·연립주택에서 집수·배수 등 빗물이용시설을 갖추면 1천만~2천만원의 보조금을 준다. 시는 오는 11일까지 1차 신청을 받는다. 보조금을 받으려면 건축주 등이 보조금 신청서, 건물 설계도, 시설 견적서, 서약서 등을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저영향 개발은 콘크리트, 아스팔트 포장 등 불투수면을 줄여 빗물 유출을 최소화해 물순환 기능을 살리는 것이다. 정부는 대전·광주 등 광역지방정부 3곳과 기초지방정부 2곳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했다. 이에 대전시는 서구 월평·둔산·갈마동 일대 2.56㎢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국비 200억원 등 280억원으로 △식생 체류지 조성 △투수성 보장 △옥상 녹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또 시는 중장기 물순환 회복방안인 ‘물순환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2065년까지 물순환 회복률을 9.2%로 높일 계획이다.
손철웅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물순환 도시 조성사업은 수질악화, 도시침수, 지하수 고갈,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친환경 도시재생사업이다. 개발사업지의 빗물 자연순환 기능을 강화하는 사전협의제를 활성화해 수질오염원을 줄이고 도시침수와 건천화를 방지하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