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에 안개까지 겹친 5일 광주공항에선 여객기의 결항과 지연이 잇따랐다. 연합뉴스
안갯속에 초미세먼지가 내습하면서 서남해안 뱃길도 막혔다.
목포지방해양수산청은 5일 “안개와 먼지의 영향으로 시정이 나빠 목포항을 기점으로 하는 여객선 대부분의 발이 묶였다”고 밝혔다. 운항 통제는 이날 오전 6시 26개 항로 47척에서 정오께 22개 항로 43척으로 다소 줄었으나 원거리 뱃길은 대부분 끊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흑산도와 홍도, 낙월도와 송이도 등지로 가는 승객들이 오도가도 못한 채 출항만을 기다리는 불편을 겪었다. 목포운항관리센터는 항로의 가시거리가 1㎞ 이하일 때 여객선의 운항을 통제하고 있다.
광주공항과 무안공항을 운항하는 여객기 10여편도 미세먼지의 영향을 받아 지연하거나 결항했다. 광주공항에서는 이날 오전 제주행 1편이 결항했고, 다른 제주행 3편은 이륙이 지연됐다. 무안공항에서는 제주행 국내선 2편, 일본 오사카와 베트남 다낭으로 출발하는 국제선 2편의 운항이 늦어졌다. 필리핀 세부에서 이륙한 여객기는 애초 이날 오전 5시50분 무안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4시간 늦은 9시45분에 겨우 착륙했다. 이런 지연과 결항은 공항 주변의 뿌연 초미세먼지와 안개로 인한 저시정 때문이었다.
조선희 전남도 자연재난관리팀장은 “계절적 요인으로 발생한 안개가 짙고, 뿌연 초미세먼지가 이어지면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미세먼지는 법적인 재난상황은 아니지만 준재난으로 간주해 관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남지역의 서남해안은 지난달 28일부터 엿새째 초미세먼지 특보가 발효 중이다. 전남 서부권의 초미세먼지 최고 농도는 지난달 28일 오후 9시께 166㎍/㎥를 기록하기도 했다. 초미세먼지(PM2.5·1000분의 2.5㎜보다 작은 먼지) 경보는 시간당 평균농도가 150㎍/㎥ 이상으로 2시간 지속할 경우 발령한다. 지난 1일 오전 11시께 광주의 시간당 평균농도는 172㎍/㎥까지 치솟았다.
광주와 전남은 지난 1일 이후 초미세먼지 농도가 점차 낮아져 경보를 주의보로 전환했으나 잿빛 공기에 대한 주민의 불안감은 이어지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