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에서 홍역이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시는 홍역환자 접촉자 규모도 파악하지 못하는 등 방역 체계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확진환자가 다른 지역에 주소를 두고 있다는 이유로 관리대상에서 제외해 기본적인 원칙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전시는 8일까지 홍역 확진환자는 모두 8명이라고 이날 밝혔다. 지난 2일 7개월 영아가 첫 확진판정을 받은 이후 6일까지 3살 이하 아동 5명이 확진판정을 받았으나, 8일 6, 9, 10개월 영아 등 3명이 추가로 확진된 것이다. 시 보건당국은 “추가로 홍역이 확인된 3명 가운데 2명은 ㅇ소아병원에서 첫 발병자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영아들이며, 1명은 다른 층 병실에 입원했다가 전염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8명 가운데 3명은 ㅇ소아병원에서 치료받고 있으며, 첫 발병자인 공주 거주 7개월 영아 등 5명은 집에서 격리돼 있다고 덧붙였다. 대전시가 홍역 확산을 방지하려고 파악한 환자 부모와 접촉자는 173명이다.
시 보건당국은 9일부터 관내 소아예방접종 의료기관을 통해 6~11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홍역 예방접종을 하기로 했다. 시 보건복지국은 “질병관리본부와 협의해 대유행 등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6~11개월 영아로 접종 시기를 앞당겼다. 접종 시기를 당긴 데 따른 부작용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질병관리본부의 지침상 홍역 예방접종 권장 시기는 엄마로부터 물려받은 면역체계가 약해지는 생후 12~15개월이다.
대전 홍역 확진환자가 늘면서 시 보건당국의 대처가 주먹구구식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대전시는 최초 발병자인 7개월 영아가 ㅇ소아병원에 5일 동안 입원해 있을 당시 같은 병실을 이용한 영아와 다른 층 병실에 입원한 영아의 전염경로를 비롯해, 최초 발병자가 있던 병실에 함께 입원해 있던 영아 인원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 보건당국은 최초 발병한 영아의 주소가 충남 공주라는 이유를 들어 “공주시보건소가 전염경로 파악 등을 맡아야 한다”며 모니터 대상에서 제외했다. 임묵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질병 관련 모니터 대상자는 주소를 기준 삼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침에 따라 정한다. 홍역에 걸린 영아와 같은 병실을 사용하거나 새로 확진된 영아의 감염 경로 등은 조사하고 있다”며 “ㅇ소아병원과 홍역 확진 판정을 내린 ㄱ병원의 의료진은 이미 홍역 예방접종을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보건당국 관계자는 “확진자가 거쳐간 루트에 있는 이들은 접촉자로 보는 것이 기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전시는 7일 ㅇ소아병원에 입원한 7~3살 영아 5명이 홍역에 걸렸다고 밝혔다. 시 보건당국에 따르면, 처음 발병한 영아는 생후 7개월 된 여아로 최근 외가인 베트남에 다녀온 뒤 지난달 23일 감기 증상으로 이 병원에 입원했다가 다른 병이 의심돼 ㄱ병원으로 전원해 치료받다 홍역이 확인됐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