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지사(왼쪽 두 번째)가 25일 한화토탈 대산공장을 방문해 공장 관계자로 부터 유증기 분출사고 개요를 듣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등 유사 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화학사고 전담조직을 신설한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중앙 정부의 권한을 지방 정부로 이양하는 방안도 건의하기로 했다.
충남도는 25일 한화토탈 대산공장 회의실에서 양승조 지사, 맹정호 서산시장, 금강유역환경청,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등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한화토탈 유증기 분출사고 대책 마련 관계기관 회의’를 열어 화학사고 전담조직을 신설해 충남 서부권역에 배치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도는 “충남 서부권역은 석유화학 및 철강 관련 기업이 집중돼 있는데 상당수 설비가 노후화되고 있어 사고를 예방하고 시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해 피해를 줄이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유관기관들이 전담조직이 필요하다고 밝혀 이를 신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는 조만간 전담조직 규모, 업무 분야와 인력 등을 정하는 세부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또 사고 발생 시 지방정부가 초동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방안도 중앙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도는 “현재 화학 사고에 대한 초동 대응 권한은 환경부에 있다. 초동대처가 중요한 화학 사고의 특성상 불합리한 점이 있다. 중앙정부에 건의할 이양 범위는 초동 조치, 응급 복구 등 도민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권한”이라고 말했다.
양승조 지사는 “한화토탈 유증기 분출사고로 도민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하다.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고 명확한 원칙을 수립해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양 지사는 “피해를 본 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동식 진료차량을 배치해 거동이 불편한 분들과 현업에 계신 분들의 진료에도 차질이 없도록 조처하겠다”며 “대산단지를 비롯한 충남 서부권역에 전담인력을 배치해 사고 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회의에 앞서 양 지사는 한화토탈 사고 현장을 방문해 공장 관계자로부터 사고 경위와 대책을 듣고 수습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피해 지역인 대산읍 독곶1리 주민과 만나 “도와 관계기관이 함께 이번 사고에 대한 원인 파악을 하고 있다. 사고에 따른 건강상 피해 여부 등은 대기오염 수준을 계속 측정해 주민께 자세하게 알려드리겠다”며 “또 합동점검에서 드러난 문제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유증기 분출사고가 발생한 한화토탈 대산공장 설비에 고용노동부 대전지방고용노동청장의 작업중지 명령서가 붙어있다. 충남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