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인근 마을과 완충공간 확보 조건” 의결
지역주민 반발·현 교도소 터 활용방안 등 숙제
지역주민 반발·현 교도소 터 활용방안 등 숙제
광주교도소를 삼각산 자락으로 이전하는 사업이 도시계획위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26일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북구 삼각동 산 39 일대 10만여평에 광주교도소를 이전하는 도시관리계획 결정안을 조건부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애초 이전 터 10만평 가운데 4만7천평에는 교정시설, 5만3천평에는 완충녹지를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인근 마을과 교도소 사이에 완충 공간을 더 확보하라는 조건을 붙였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 안에 개발제한구역 행위허가를 위한 중앙도시계획위 승인을 받아 구체적인 사업안을 고시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2008~2012년 1191억원을 들여 이 곳에 기결수 2000명, 미결수 1300명 수용 규모로 연건평 2만3천평에 이르는 건물 40동을 지을 예정이다.
그러나 교도소 이전 터 부근인 북구 일곡단지와 월산마을 주민들이 반발하고, 광주시 북구청도 현 교도소를 5·18사적화하겠다며 무상 양여를 요구하는 등 난제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1970년 동구 동명동에서 북구 문흥동으로 이전한 광주교도소는 시설이 낡고 좁은 탓에 이전 바람이 높아 2004년 10월 삼각산 월산마을 부근으로 이전 터를 잡았지만 개발제한구역에 들어있어 추진이 미뤄져왔다.
광주교도소는 80년 5·18 때 시민군과 계엄군이 충돌해 희생자가 발생했고, 구속자 다수가 수감됐던 5·18사적지 가운데 하나다.
시 쪽은 “1999년부터 법무부의 이전 요청이 있어 타당성 조사 뒤 현재 위치에서 5㎞쯤 떨어진 삼각산 자락으로 이전을 결정했다”며 “관심의 초점은 아파트 건립이나 사적지 조성으로 의견이 갈리는 현재 교도소 터 3만평의 활용방안”이라고 덧붙였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시 쪽은 “1999년부터 법무부의 이전 요청이 있어 타당성 조사 뒤 현재 위치에서 5㎞쯤 떨어진 삼각산 자락으로 이전을 결정했다”며 “관심의 초점은 아파트 건립이나 사적지 조성으로 의견이 갈리는 현재 교도소 터 3만평의 활용방안”이라고 덧붙였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