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중소제조업체의 수질오염물질과 대기오염물질 관리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이 7일 공개한 ‘인천지역 제조업의 친환경 지속가능경영 확산 방안’ 보고서를 보면 중소제조업체 100곳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수질’오염물질 배출과 관계있는 기업 47곳 중 수질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는데 어려움을 겪는 곳이 80%(38곳)에 달했다. 오염물질 저감계획을 세우지 못한 곳은 22곳(46%),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자체가 집계되지 않는 곳도 12곳(25%)으로 나타났다. 저감계획을 수립했지만 저감 목표 달성 수준이 미비하다고 응답한 곳도 4곳(9%)이다. 반면 저감계획이 수립돼 있고 저감 목표 달성 수준도 괜찮다고 답한 곳은 9곳(19%)에 그쳤다. ‘대기’오염물질 배출과 관계있는 기업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56곳 중 대기오염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곳도 14곳(25%)으로 나타났다. 체계를 구축했으나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는 곳도 9곳(16%)이다.
회사가 환경경영 의지가 있거나 관련 계획이 세워져 있는 곳도 적었다. 환경경영에 대한 비전과 방침이 아예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52곳(52%)으로 절반 이상이다. 반면 환경경영 의지를 문서화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26곳(26%), 이를 임직원이 볼 수 있도록 게재한 기업은 13곳(13%)뿐이다. 환경경영 전략 및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는 기업은 47곳(47%)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환경경영 전략은 있으나 달성 목표가 설정되지 않은 기업도 23곳(23%)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환경경영 개선 목표가 정해져 있으나 구체적 추진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14곳(14%)으로 파악됐다.
인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4년 983만톤에서 2019년 1038만톤으로 증가해 6대 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은 배출량을 기록했다. 에너지 사용량도 542만톤으로 6대 광역시 중 두 번째로 많아 제조업체의 환경경영 필요성이 크다. 윤석진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탄소 중립 경제로의 전환과 환경경영이 점차 실질적인 제도로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인천의 산업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 제조업에서 환경경영 확산을 위한 실행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