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지난해 4월27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쪽 지역에 갔다 다시 남쪽지역으로 향하고 있다. 김경호 기자
남북정상회담이 세 차례나 열린 지난해와 달리 올해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됐지만 서울시민 10명 가운데 7명가량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남북통일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다만, 시민들은 대체로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서울시는 서울에 사는 만 19살 이상~69살 이하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3일까지 벌인 남북교류협력 의식조사의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에 이어 1년 만에 진행됐다. 이 조사에서 남북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74.2%로 지난해 조사 때와 같았다. 시민들이 통일 뒤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회문제로는 경제성장률(35.4%), 이념갈등(31.3%), 실업률(18.8%) 등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불투명한 남북관계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반영되기도 했다. 5년 이내로 남북관계가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시민은 전체 응답자의 39.5%에 불과했고, 71.1%는 향후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을 묻는 항목에서도 응답자의 62.9%가 ‘낮다’고 꼽았다.
정부와 서울시가 추진하는 2032년 서울-평양 하계 올림픽 공동개최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61.8%였다. 지난해 70.2%보다 8.4%p 하락했다. 찬성 이유로는 ‘올림픽 공동개최를 통해 사회문화 교류·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28.9%로 가장 높았고, ‘남북 간 군사적 긴장해소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서’(18.7%), ‘경제적 효과가 클 것 같아서’(11.3%)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공동개최를 반대한다고 답한 이들이 꼽은 주된 이유로는 ‘정치·군사적 문제 미해결 시 대화·협력 무의미할 것 같다’는 답변이 4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북한체제 특성상 지속적인 대화·협력이 어려울 것 같아서’(27.7%), ‘북한과 공동 올림픽을 개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16.4%), ‘올림픽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부담 때문에’(13.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타임리서치에 의뢰해 온라인으로 이뤄졌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2%p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