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낮 용인시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20대 남성(용인 확진자 66번째)이 다녀간 서울 용산구의 한 클럽 근처로 사람들이 다니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 관련 코로나19 감염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자체들은 유흥시설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는 한편, 지역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 연휴 기간 이태원 일대를 찾았던 방문자 파악에 나서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자가 10일 정오 기준 54명이라고 이날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시가 30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가 14명, 인천시 6명, 충북도 2명, 부산시 1명, 제주도 1명이다.
관련 확진자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수도권은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는 등 강경한 대응을 취하고 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이날 오후 이날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경기도의 모든 유흥주점 5536곳과 콜라텍 65곳 등 모두 5601곳에 대해 2주간 집합금지 명령을 내린다”며 “이태원 클럽을 방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2주 동안 대인 접촉 금지 명령도 내린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지난달 29일부터 서울 용산 이태원동 소재 6개 클럽과 강남구 소재 수면방 출입자 중 경기도에 주소나 직장, 기타 연고를 둔 사람은 오는 11일부터 17일까지 경기도 내 보건소와 선별진료소에서 무상으로 코로나19 감염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박남춘 인천시장도 “인천시내에 있는 1058개 유흥시설 업소에 6월7일까지 운영 자제를 권고하는 행정명령을 내린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9일 박원순 서울시장도 시내 유흥업소에 대한 두번째 집합금지 명령을 내렸다. 서울시는 지난달 강남 유흥업소 종사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뒤인 지난달 8일, 시내 유흥업소 2146곳에 한 차례 집합금지 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은 그동안 서울에서 발생한 주요 감염 사례와는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방역당국을 긴장케 하고 있다. 서울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구로 신도림동 콜센터 집단감염의 경우 콜센터 직원과 그 가족이 대다수였던 반면,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은 불특정 다수가 방문자라는 점 때문이다. 성소수자·외국인 등이 명단을 정확하게 작성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접촉자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시 방역 관계자는 “기존 집단발생 사례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성소수자 커뮤니티와 협력해 (이태원 클럽 방문자들이) 검사를 받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서울시 등 지자체는 추가 감염을 막는 조치와 함께 확진자 동선과 겹치는 접촉자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용산구는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이태원 클럽 5곳의 출입객 명단을 확보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용산구는 10일 오후 중복을 제외하고 명단에 기록된 5517명 가운데 3535명과 연락이 닿은 상태다.
전국 지자체들도 이태원 클럽에 다녀온 방문자들을 찾아 진단검사를 진행하는 등 확산 저지에 주력하고 있다. 충청도의 경우, 지난 2~5일 사이 이태원 지역 방문자는 대전 16명, 충남 16명, 충북 23명, 세종 2명 등 모두 57명이다. 이 가운데 충북에서 20대 1명, 군 시설에서 생활하던 병사 1명 등 2명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대구와 경북도는 이태원 클럽 방문자가 10일 오후 27명으로 파악됐으며, 이 가운데 16명은 음성, 나머지 11명은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밖에도 광주·전북·부산 등 각 지자체도 방문자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생활방역 전환 과정에서) 정부가 단계적 접근을 하는 등의 세심함이 필요했다”며 “폐쇄된 공간에 다수가 밀접 접촉하는 고위험 장소(에 대한 제한은) 제일 나중에 풀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용산구 청년정책자문단의 부자문단장으로 활동하며 지난 2월부터 클럽 운영 자제 캠페인을 벌여왔던 이세원(36)씨는 “예방하려면 미리 예방할 수 있었던 상황”이라며 “이 사태를 막지 못하고 지역사회에 (코로나19가) 확산된 상황이 아쉽다”고 말했다.
서혜미 홍용덕 송인걸 옥기원 구대선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