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이 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 마련 및 대책위 구성 브리핑에서 관련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피해자의 호소를 묵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서울시가 성차별·성희롱 근절 대책을 9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내외부 직원들이 참여하는 위원회 2개를 구성하기로 했다.
시는 내부의 성차별·성희롱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위원회’와 5급 이하 직원 20여명이 참여하는 ‘성평등문화 혁신위원회’를 구성한다고 3일 밝혔다.
특별대책위원회는 성평등위원회 위원인 김은실 이화여대 교수와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공동 위원장을 맡는다. 외부 위원으로는 여성·시민·청년단체에서 3명, 학계에서 1명, 교육·연구기관에서 2명, 변호사와 노무사가 각각 1명씩 참여한다. 내부 위원으로는 여성가족정책실장과 행정국장, 감사위원장, 공무원 노조 여성대표 2명이 참여해 위원회는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대책위는 △피해자 보호 및 일상 복귀 지원 방안 △2차 가해 방지 및 재발 방지 대책 △성차별 문화 개선 및 성 평등 문화 확산 방안 △직원 성차별 인식 개선 및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 △성희롱·성폭력 신고 및 처리 시스템 개선방안 △성차별적 직무 부여 등 조직 운영방식 개선방안 △선출직 공무원 성범죄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제도개선 사항 등을 자문한다.
5급 이하 내부직원 20명 내외로 꾸려지는 혁신위원회는 5급 여성 공무원, 6급 이하 여성 공무원, 남성 공무원, 비서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공무원 등 4개 집단으로 구성된다. 위원들은 직군별·성별·근무부서별 조직 문화를 점검하고 개선할 예정이다. 또 시는 시 본청과 사업소에 있는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성차별·성희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이 밖에도 시는 3급 이상 실·본부·국장과 투자·출연기관장, 4급 부서장을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 강화를 위한 특별교육도 실시한다.
이날 오전 서울시청사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무엇보다 현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내·외부 의견을 모두 반영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