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코로나19 장기화로 복지서비스가 중단되는 ‘돌봄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돌봄SOS센터(돌봄센터)를 25개 자치구에 확대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돌봄센터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과 장애인 등 시민 누구에게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편적 돌봄복지 거점으로 동 주민센터에 설치해 운영된다. 사회복지직과 간호직 공무원으로 구성된 돌봄 매니저가 전문 서비스 제공기관을 통해 방문요양과 식사 지원, 안부 확인 등 8개 분야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로나19 감염 대응 강화를 위해 대청소·방역위생 서비스도 새롭게 추가됐다.
시는 돌봄센터 운영을 확대하면서 서비스 이용 자격의 문턱도 낮췄다. 시범사업에선 주 이용대상이 만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이었지만, 이번에는 50세 이상 중장년층으로 확대된다.
시가 비용을 지원하는 대상도 올해 1월 중위소득 85% 이하로 넓힌 데 이어 올해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중위소득 100% 이하로 완화한다. 나머지 시민들도 본인 부담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인당 연간 비용지원 한도액도 152만원에서 156만원으로 늘었다. 시범사업에서는 자부담이었던 교통비·재료비도 각각 1인당 연 10만원 한도로 지원해 1인당 연간 최대 17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지난해 7월부터 노원과 은평, 마포 등 5개 자치구에서 돌봄센터 시범운영을 시작해 현재까지 2만여건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한 결과 코로나19로 일시 중단된 방문요양이나 도시락 배달 등이 큰 호응을 얻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