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는 7일 오후 5시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 백마홀에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 출범식을 열었다. 대전시 제공
대전·세종·충남 지방정부와 대학·기업·연구소 등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꾸렸다. 이 플랫폼은 지방정부-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RIS) 사업으로, 미래 모빌리티(이동수단) 산업을 중심축으로 지역의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과 창업을 지원해 정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는 7일 오후 5시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 백마홀에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 출범식을 열었다. 이날 출범식은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국회의원, 충남대 등 24개 참여대학, 지역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유 부총리는 축사에서 “대전·세종·충남은 초광역 협업체계를 구축해 연구~실증~생산의 상호보완적 협업기반이 확립된 지역이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선순환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산하에 총괄운영센터, 대학교육혁신본부, 모빌리티(이동수단) 관련 아이시티(ICT)사업단, 소재부품장비 사업단으로 꾸려진다. 플랫폼은 해마다 686억원, 5년 동안 국비 2400억원, 지방비 1030억원 등 3430억원의 예산으로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 경쟁력 제고, 산업전환 기업 지원을 통해 관련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지역의 24개 대학은 플랫폼의 공유대학에서 연간 7000명의 핵심분야 인재를 양성한다. 또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고도화해 인재들이 관련 기업을 창업하도록 돕는다.
대학들은 환경이 조성되면 연간 3000명이 취업, 창업해 지역에 정착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이 플랫폼과 세종 공동캠퍼스 및 내포 인공지능 공유대학이 연계하면 지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진숙 충남대 총장은 “이 플랫폼을 통해 충청권 메가시티 기반을 구축하고 국토 균형발전과 한국형 뉴딜의 완성을 이뤄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플랫폼에 참여하는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등 기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연구기능은 공유대학 교육과정과 운영을 맡는다. 이들은 기술개발 및 사업화 등 협업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참여 학생들의 전문 역량도 향상할 것으로 기대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의 출범은 지역 대학과 지역 발전에 혁신적인 역사로 남을 것”이라며 “이 사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대전·세종·충남은 지난 5월 ‘지역대학 24곳, 현대자동차 등 기업 81곳,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63개 기관을 포함해 170여개 기관과 협력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제안해 교육부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에 선정됐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