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대전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왼쪽부터) 등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이 23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충청권 4개 지방정부가 거대한 수도권 벨트에 대응해 국가균형 발전을 도모하려고 추진하는 ‘충청권 메가시티’는 어떤 뼈대를 갖출까.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 4개 지방정부는 23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어 충청권 4개 시도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상생과 번영을 도모하는 전략을 논의했다.
대전세종연구원은 충청권 메가시티는 인적자원 경쟁력이 높고 기술인력이 풍부해 인구대비 지역내총생산(GRDP)이 다른 광역권보다 높은 점이 강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이 심하고 지역 내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중(10.4%)이 작아 위기를 맞고 있다고 했다.
약점은 수도권 대응 역량과 규모의 경제가 수도권, 동남권보다 약세인 점, 국제공항과 동서연결망 등 권역 내부 광역교통체계가 미흡한 점 등이 꼽혔다. 연구원은 충청권 메가시티에 혁신도시, 기업도시, 과학벨트, 내륙첨단산업권이 갖춰져 있어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을 연결하는 다핵중심 네트워크 권역 형성에 최적지라고 설명했다.
염인섭 대전세종연구원 박사는 “충청권 메가시티 추진 기본방향은 성장거점 경쟁력과 초광역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국판 뉴딜과 연계한 ‘충청권의 균형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적절하다”며 산업경제, 광역인프라, 사회문화 등 3대 분야에서 9개 전략과 23개 사업을 추진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산업경제 분야는 바이오·융합소재·미래모빌리티·창업투자 플랫폼을 뼈대로 한 ‘초광역 핵심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광역인프라는 충청권 자유경제구역 건설과 50분 생활권을 위한 교통망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문화 분야는 충청권 콘텐츠 기반 문화관광 브랜드 구축,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충청권 광역관광 본부 신설 등이 제시됐다.
전략 실천방안은 1단계 지역현안 과제 해결, 2단계 생활권·경제권 협력 관리청 운영, 3단계 광역연합이나 특별자치단체 도입 등이 거론된다.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세부과제와 실천 로드맵은 오는 11월까지 진행될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화할 방침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용역에서 거론한 사업을 실행하려면 충청권 지방정부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각의 역할을 나누는 등 수행할 과제가 적지 않을 것이다. 충청권 메가시티가 수도권 집중을 견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중심점이 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희 시장은 “4개 시·도가 공감하고 실행력 높은 공동사무를 발굴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국가정책 방향과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해 협력과제를 공동사무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