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료원 건립 규모와 건립 예정지 위치도. 대전시 제공
대전시 숙원사업인 대전의료원 건립이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를 통과해 가시화했다.
대전시는 3일 대전의료원 건립사업이 이날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를 통과한 대전의료원 규모는 건물 연면적 3만3148㎡, 부지면적 3만9163㎡에 21개 진료 과목, 319병상을 갖춘 종합병원급이다. 총사업비는 애초 1315억원에서 444억원 증액된 1759억원으로 확정됐다. 예산은 공사·부대비, 장비구매비에서 국비 587억원(156억원 증가), 시비 814억원(27억원 감소)으로 산정됐으며 시가 전액을 부담하는 용지매입비는 43억원에서 368억원으로 증가했다.
대전시는 대전의료원이 적정성 검토를 통과하고 국비 추가 확보, 공사비 증액, 토지매입비 현실화 등 예산 문제도 해결됨에 따라 25년을 끌어온 사업이 본격화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용지매입비가 증가한 것은 애초 개별공시지가를 기준 삼았던 산정 방식을 대전도시공사의 선량지구 도시개발사업 기반조성비를 포함한 분양단가를 기준 삼아 현실화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의료원 착공은 2024년, 준공은 2026년이 목표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 본 예산에 일부 설계비 10억원을 확보하고, 내년 상반기에 의료·운영체계 용역, 하반기에 기획설계를 각각 발주할 계획이다.
시는 대전의료원이 문 열면 보건소-지방의료원-대학병원으로 연결되는 공공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돼 코로나19 같은 국가적 재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또 정신·장애인 등 지역에서 갖추지 못하던 미충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민건강권은 높이고 시민진료비 부담은 완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동한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대전은 국가적인 감염병 사태를 겪으면서 격리병상과 의료인력 확보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대전의료원 설립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며 “대전의료원을 공공병원의 모범 사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