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 원촌동 하수처리장 전경. 대전시 제공
대전의 숙원 사업 가운데 하나인 대전 유성구 원촌동 대전하수처리장 이전에 청신호가 켜졌다.
대전시는 대전하수종말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이날 오전 대전시에 ‘이 사업에 대한 적격성 조사를 했더니 비용대비 편익(B/C)은 1.01로 경제성이 있고, 민간투자 적격성 분석도 바람직하다’고 통보했다. 시가 2016년 5월 하수처리장 이전사업의 경제성 및 적격성 조사를 의뢰한 지 3년 만이다.
대전하수처리장은 1983년 원촌동 갑천변 40만4000㎡의 터에서 착공해 89년 1단계가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0년 최종 준공됐다. 그 뒤 시설이 낡고 악취가 심한 데다 대덕특구 개발 등 도시 여건이 변화해 10여년 전부터 주민의 이전 요구가 잇따랐으나 막대한 재정 부담 때문에 공론화하지 못했다.
하수처리장 이전이 가시화한 것은 한화건설이 지난 2016년 하수처리장을 금고동으로 이전하는 비용을 부담하고 30년 동안 운영하는 것을 뼈대로 한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하면서부터다. 한화건설은 금고동 14만6000㎡ 터 지하에 8400억원을 들여 하루 처리용량 65만t 규모의 하수처리장을 만들고 지상에 공원 등을 조성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전하면 하수처리 용량이 현재 90만t에서 65만t, 부지도 3분의 1 규모로 줄어든다. 이에 대해 시는 현재 실제 하수처리량이 63만t이고, 첨단 기술로 하수를 처리할 계획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태도다.
허태정 시장은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이 경제성이 있다고 결론 났다. 시의회 동의와 기획재정부 심의 등 행정 절차를 진행하겠다. 현 하수처리장 터는 대동·금탄지구 개발사업에 포함해 대덕구 재창조사업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