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가 인공부화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힌 새끼 새조개. 부화한 지 2주, 한 달, 두 달 뒤 1㎝ 크기로 자란 모양(왼쪽부터).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제공
서해안의 겨울철 별미인 새조개를 양식하는 방안이 본격화한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새조개를 대량 인공부화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새의 부리처럼 모양이 생겨 이름이 붙은 새조개는 쫄깃한 식감으로 서해안을 대표하는 겨울철 별미다. 그러나 생산량이 2003년 1156t을 기록한 뒤 급감해 2012년 이후에는 공식 통계가 잡히지 않을 정도로 귀해졌다.
이에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2016년 새조개 양식 연구를 시작해 지난해 새조개 치패(새끼 조개)를 사육·관리하는 기술에 이어 올해는 인공 새조개 생산에 성공했다. 연구소 쪽은 “새조개 치패는 부화해 떠다니다 2주 정도 지나자 양식장 바닥 등에 정착했다. 다른 조개류와 달리 성장이 2배 정도 빨라 1년이면 6㎝ 이상 크기의 성패(다 자란 조개)로 큰다”고 전했다.
이 연구소는 충남 홍성군 죽도 인근 바다에 인공부화시킨 치패를 뿌려 성장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내년 4월 문 여는 친환경양식특화연구센터를 통해 치패 생산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남기웅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는 “새조개 남획으로 어미 개체가 붕괴하고 기후 변화로 해수온이 상승해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며 “양식 기술을 개발해 저수조 등 육상 양식장에서도 새조개를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