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충남도는 10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정책토론회’를 열고 역차별 문제 해결을 위해 대전과 충남에 혁신도시를 지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재호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혁신도시가 없는 대전과 충남에 혁신도시를 새로 지정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기존의 10개 혁신도시 외에 새 혁신도시 지정을 검토한다고 밝힌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10일 오전 10시20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정책토론회’에서 송 위원장은 “정부는 혁신도시 부재 지역에 대해 신규 혁신도시 조성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이 토론회의 의견을 잘 듣고 기존 혁신도시 정책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세종시 건설로 대전은 인구가 유출돼 150만명 선이 무너졌고, 대덕특구 연구기관들은 분원을 내어 전국으로 분산됐다. 충남도 토지와 인구, 산업시설을 세종시에 내주기만 했다. 세종시 건설로 대전·충남권은 지역 불균형이 발생했다”고 문제점을 인정했다.
허태정 대전시장도 인사말에서 “지역 역차별 문제가 심각하다. 대전·충남에 혁신도시를 추가 지정해야 혁신도시를 국가 균형발전의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승조 지사도 “세종시 발전할수록 대전·충남의 피해와 소외가 커지고 있다. 혁신도시법을 조속히 개정해 대전·충남에 공공기관을 이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강영주 대전세종연구원 미래전략실장은 “대전은 4차 산업혁명 거점형 혁신도시, 충남 내포신도시는 환황해권 거점형 혁신도시로 각각 지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 실장은 “대전은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고 대덕연구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학 등이 포진해 과학 경쟁력을 견인할 수 있다”며 “충남 내포신도시는 수출 산업의 뼈대인 자동차, 화학, 반도체 생산단지의 중심에 있어 서해안의 기간산업을 연계한 혁신 클러스터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토론에서 오용준 충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장은 “2012년 세종시가 건설되면서 충남은 당시 기준으로 인구 9만6천여명과 연기군 전역(361㎢) 및 공주시 일부(77㎢)를 내줬다. 2017년까지 충남의 경제 손실은 25조2000억원에 달하고, 지역인재 채용 등에서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도 2012년 이후 세종시로 인구가 10만명가량 빠져나갔다.
10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대전·충남에 혁신도시를 지정해 달라”며 펼침막을 들어 보이고 있다.
애초 노무현 정부의 혁신도시 건설 때 비수도권 지역에선 대전·충남만 혁신도시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충남은 세종시가 건설되고 수도권 기업들의 이전이 많다는 이유로, 대전은 이미 정부대전청사와 공공기관, 대덕 연구단지가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연기군 지역에 세종시가 건설되면서 대전과 충남의 인구와 생산력을 급격히 빨아들여 두 지역은 균형 발전 정책 이후 오히려 지역이 쇠퇴하는 상황에 놓였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사진 대전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