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대전시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세종시로 인구가 집중되는 블랙홀 현상의 대안으로 대전에 혁신도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제공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대전시 국감에서는 여·야 의원이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강훈식(충남 아산을) 의원은 “이춘희 세종시장은 세종시가 블랙홀이라는 말을 들어 봤느냐. 세종시 건설 취지가 수도권 집중 완화인데 충청권 인구를 빨아 들었다”며 “2015년부터 올 9월까지 세종시 전입인구 통계를 보면, 전출지가 수도권인 경우는 26.0%에 불과했고 대전 37,4%, 충남 11.6%, 충북 11.0% 등 충청권이 60.0%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하루에 60명이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주하고, 세종에서는 15명이 대전으로 옮긴 셈이다. 정부는 세종시를 통한 수도권 인구 분산 효과를 높일 방안을 시급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같은 당 김철민(안산 상록을) 의원은 대전 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혁신도시 지정을 꼽았다. 김 의원은 “올 8월말 현재 대전 인구는 148명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약 1만명이 줄어들었는데 세종시는 33만2천명으로 약 2만명이 증가했다. 대전 인구 감소는 대전시 원도심 공동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라고 전제했다. 그는 “대전시가 추진하는 원도심 활성화 방안의 정책 개선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혁신도시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첫 질의에 나선 자유한국당 이은권(대전중) 의원도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을 지정 제1과제로 삼고 있으나 정부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에 따른 효과 등을 수치화 하는 등 차별화 전략을 마련하고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정부가 대전을 혁신도시 대상에서 배제한 이유인 정부대전청사 입지, 대덕특구 지정, 세종시 건설지역이 충청권이라는 주장에 대해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자료를 통해 반박 논리를 내놓아야 한다”며 “정부청사와 대덕특구가 대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국가균형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자료가 필요하다. 또 혁신도시로 지정되면 인구 유입, 일자리 창출, 기업 유치 등 지역에 끼칠 효과가 어느 정도나 되는지 연구 용역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공감한다. 지적과 제안을 참고해 혁신도시 지정과 관련한 대전시의 입장 등을 정리하고 전략을 세워 대전이 혁신도시로 지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