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이 27일 오후 울산지방경찰청장 재임 당시 진행했던 울산시장 측근 인사 수사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대전지방경찰청 출입기자단 제공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이 ‘울산지방경찰청장으로 재임할 당시 청와대의 하명으로 울산시장 측근 비리를 수사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정상적인 절차에 따른 수사였다”고 거듭 밝혔다.
황 청장은 27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불거진 이른바 ‘청와대 하명 수사 논란’에 대해 “터무니없는 의혹 제기”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또한 지난해 6·13 지방선거 당시 김기현 울산시장의 비리와 관련한 첩보는 경찰청 본청에서 받았다고 강조했다. 본청에서 받은 첩보의 출처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 필요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첩보는 당시 울산시장이 아니라 울산시장 비서실장과 관련한 여러 건의 비리였다. 압수수색도 비서실장이 대상이었다”며 “수사를 안 하는 것이야말로 정치적 고려 아닌가? 시장 공천 시기 등은 알 필요도 없고 알지도 못했다. 맞춰서 수사했다는 건 정치적 공세”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 첩보는 출처를 모르고 알 수도 없다. 경찰청에서 받은 첩보의 출처가 감사원인지, 검찰인지, 청와대인지 수사경찰은 알려고 안 한다”며 “울산시장 비서실장 비리 첩보가 대단한 첩보라고 관심이 있겠냐”고 되물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기획수사 의혹에 대해서 선을 그었다. 그는 ‘경찰청에서 12월께 받은 첩보를 3개월 뒤 지방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수사한 것은 기획성 수사가 아니냐’는 질문에 “첩보를 받으면 내사를 하고, 혐의를 입증하려고 압수수색을 한다. 이 사건도 내사를 거쳐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는데 여러 차례 기각됐다. 신속하게 수사를 했는데도 3개월이 지났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당시 울산경찰청에서는 본청의 첩보를 받은 뒤 정치적인 고려 없이 신속하고 절제된 방법으로 수사했다”고 주장했다.
황 청장은 정치권과 언론에 대한 불만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수사를 앞뒤로 당시 실세 장관을 만났다’는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주장에 대해 “누군지 실명을 밝혀라. 정치적 공세에 답변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어 ‘조국 전 장관을 개인적으로 아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답변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이번 사건과 관련 없는데 왜 말해야 하나”라며 말꼬리를 잘랐다.
그는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따라 여러 의혹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경찰)청장으로서 정상적이고 통상적인 업무에 대해서도 답변해야 하느냐”고 비판했다. 황 청장은 “무책임해 보이는 의혹에 언론이 덩달아 문제를 제기해 국민이 혼란에 빠지기도 한다. 언론이 무책임한 의혹 제기를 걸러 줬으면 한다”고도 했다.
내년 총선에 출마하려는 뜻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정치를 하고 싶지 않지만, 공적인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 정치를 공적인 영역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요구에 의무감을 갖고 있다. 공적 가치에 헌신하는 것이 목표인 사람이 정치를 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