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2020~2025년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 목표.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제6차 지역 에너지계획(2020~2025)을 21일 발표했다. 1조원을 투자해 신재생에너지를 5배 확대하고 수소차·전기차 1만8천여대를 보급하는 것을 포함해 장기적으로는 2040년까지 전력자립도를 2017년 현재 1.96%에서 20.4%로 향상하는 목표도 담겼다.
대전시는 이 에너지 계획에서 △전력자립도 향상 △신재생에너지 확대 △온실가스 감축 등을 목표로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과 대책 등 6개 분야에서 36개 전략사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지산지소(지역의 필요한 전력을 해당 지역에서 생산) 원칙이 확산하는 점을 고려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하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대전은 최종 에너지 소비량 270만5000toe(석유환산톤, 원유 1t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에너지) 가운데 가정·상업부문이 43.3%(117만toe), 산업부문이 17.0%(45만9000toe)를 차지한다. 대개 산업체가 도시 에너지 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대전은 가정과 상업 등의 에너지 소비 비율이 높다. 또 2017년 현재 대전의 전력생산량은 185GWh(기가와트아워) 인 데 비해 전력소비량은 9424GWh로 전력 자립도는 1.96%에 그쳐 전국 17개 지방정부 가운데 최하위다.
주요 사업은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산업단지 태양광 설치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예산 1942억원), 수소산업 등 에너지 신산업 육성(1276억원), 온실가스·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유도사업(965억원), 전기버스 120대 등 전기차 1만6500대와 수소 버스 73대 등 수소차 1500대 보급 사업(5326억원) 등이다. 정대환 시 기반산업과장은 “대전은 전형적인 에너지 소비도시다. 에너지원 발굴이 필요해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융복합 신에너지 산업 육성 사업을 발굴하는 데 주력했다. 에너지 생산시설을 확충하려면 우선 시민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