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광영 대전시의원이 15일 대전시의회 본회의에서 의결 정족수 미달로 상임위원 배정이 이뤄지지 않자 의사진행 발언에 나서 “본회의를 보이콧하는 것은 버려야 할 구태”라고 비판하고 있다. 대전시의회 제공
대전과 당진·서산 등 충남지역 지방의회에서 정족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후반기 보직을 두고 다툼이 벌어지면서 의회 운영의 파행이 계속되고 있다. 시민사회는 파행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시의회는 16일 오전 제251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를 열어 행정자치·복지환경·산업건설·교육위원회 위원을 선임하려 했으나 의결 정족수 미달로 정회했다. 시의회는 15일에도 같은 안건을 처리하려 했으나 역시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무산됐다. 대전시의회는 재적 의원 22명 가운데 21명이 민주당 소속이다. 이에 대해 오광영 의원은 본회의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상임위원 배정과 관련해 일부 의원이 특정인 불가론을 주장해 원 구성이 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며 “생각이 다르더라도 대화하면서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본회의를 보이콧하는 것은 우리가 버려야 할 구태"라고 비판했다. 권중순 의장은 “후반기 원 구성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해 송구스럽다. 조속한 시일 내 원 구성을 마무리해 의회가 정상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후반기 들어 대전시의회는 파행을 거듭해 왔다. 시의회는 지난 3일에도 의장단 선임 안건을 처리하지 못해 공전하다 지난 13일 두번째 투표 만에 의장단을 선출한 바 있다. 시의원들은 후반기 의회 개원 전인 지난달 의원총회를 열어 ‘전반기 의회에서 보직을 맡은 의원들은 후반기 의회에서 보직을 맡지 않고, 후반기 의장은 다선 원칙에 따라 선출한다’고 합의했으나 일부 의원들이 이에 따르지 않아 갈등을 빚었다.
이에 앞서 민주당 충남도당은 15일 이연희 서산시의회 후반기 의장을 제명하고 다른 소속 시의원들에 대해 경고 조처했다. 충남도당은 “심판 결정문을 발송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전했다. 이 의장과 의원들은 시의장 후보 선출과정에서 당헌 당규를 위반해 징계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산시의회는 지난달 25일 제253회 제1차 정례회 3차 본회의를 열어 의장에 이연희 의원, 부의장에 같은 당 이수의 의원을 각각 선출했다. 그러나 당내 경선에서는 이수의 의원이 의장 후보가 됐으나 이연희 의원이 절차상 문제를 제기해 결과가 바뀐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민주당 충남도당은 전재숙 당진시의원도 제명 조처했다. 전재숙 의원은 지난 1일 열린 당진시의회 후반기 의장 선거에서 같은 당 임종억 의원을 지지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이를 지키지 않고 다른 당 후보인 최창용(미래통합당) 의원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은 후반기 의장에 선출됐다. 이연희 서산시의장과 전재숙 당진시의원은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는 성명을 내어 “더불어민주당은 의회 파행의 책임을 인정하고 물의를 일으킨 의원들을 강력하게 징계하는 등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전시의회도 무기명투표를 모두 기명투표로 변경해 야합과 파행을 예방하라”고 촉구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