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경실련은 18일 대전·세종 아파트 가격 인상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중앙정부와 정치권, 지방정부에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전의 아파트값이 지난 3년 동안 평균 53% 올랐다. 세종시도 58% 급등했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전경실련)은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대전경실련은 18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대전·세종 아파트 가격 인상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대전 5개 구 별로 5개 단지, 세종시는 신도심(정부청사 주변 지역)과 원도심(조치원)의 84㎡(전용면적 32평형) 거래 시세를 2017년을 기준으로 올해까지 비교 분석했다.
조사 내용을 보면, 대전은 2017년 전체 평균 시세가 2억8100만원이었으나 2018년 2억9600만원(5.3%), 2019년 3억3800만원(20%), 올해 4억3200만원(53%)으로 인상됐다. 자치구 별로는 유성구 3억4900만원 → 6억3000만원(80.3%), 서구 3억1500만원 → 5억2700만원(67.3%), 중구 2억9300만원 → 4억6800만원(59.5%) 등이었다.
그러나 동구는 2억2600만원 → 2억8000만원(23.9%), 대덕구도 2억2400만원 → 2억5300만원(13%) 인상에 그쳤다. 이에 따라 유성구와 대덕구의 아파트 평균 차액은 2017년 1억2500만원에서 올 6월 3억7700만원으로 크게 벌어졌다.
세종시 신도심 아파트값도 2017년 3억6000만원에서 올 8월 5억6800만원으로 평균 58% 올랐다. 신·구도심 가격 차이는 2017년 2억4000만원에서 올 8월 4억800만원으로 벌어졌다. 행정수도 이전 논의 이후 구도심인 조치원의 한 아파트단지는 6월 2억1800만원에서 2개월 사이 42.5% 오른 3억1200만원에 거래됐다.
대전경실련은 “대전 동(동구·대덕구)·서(서구·중구·유성구) 격차는 서쪽이 세종시 인근 지역이고 각종 개발계획이 집중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대전·세종의 아파트 공급 물량이 많고 입주율이 떨어지는데도 분양 시장이 호황이고 아파트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은 가수요자에 의한 투기 과열 현상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위원장은 “투기 과열 현상은 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 꿈을 빼앗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됐다. 중앙정부와 여·야 정치권, 지방정부는 공급 확대 수준의 정책을 반성하고 제대로 된 처방을 내놓아야 한다”며 “실수요자를 위한 다양한 공공임대주택을 확대 보급하고 신·구도심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책도 시급하게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