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대전시장이 8일 혁신도시 추가 지정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한 뒤 밝게 웃으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혁신도시 지정’ 숙원을 이룬 대전시와 충남도는 7일 일제히 환호했다. 시민단체는 대전과 충남이 국토균형발전을 견인할 동력을 갖추게 돼 세종시와 함께 국가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고 환영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8일 제28차 본회의를 열어 국토교통부가 심의를 요청한 충남과 대전 혁신도시 지정안을 의결했다. 균형위는 “충남과 대전의 혁신도시 지정 필요성은 인정된다“고 의결했다. 균형위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방안 등이 결정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대전·충남 혁신도시의) 이전기관 규모와 구체적인 입지·면적 등은 향후 별도로 결정하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전국 혁신도시는 12개로 늘어나게 됐다. 국토부는 이달 중 충남과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을 발전시켜 동서 불균형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대전의 새로운 미래 100년을 설계할 수 있게 됐다”고 반겼다. 허태정 시장은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은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연구소, 지역대학 인재들이 결합해 산·학·연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터전을 마련했다. 대전은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발전의 본보기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8일 혁신도시 지정이 확정된 뒤 연 기자회견에서 “도민 여러분이 새 역사를 만들었다”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는 “혁신도시 지정을 이뤄냈다. 도청 등이 이전해 건설된 내포신도시는 서해의 중심 배후도시로 성장하는 것은 물론 국가발전축을 남북에서 동서로 전환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양승조 지사는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은 균형발전이며 충남의 혁신도시 완성이 곧 대한민국의 새로운 비전의 완성”이라며 “혁신도시 지정으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그릇이 만들어진 만큼 알차게 내용을 채우는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과 대전은 2005년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이 수립될 당시 세종시 건설 및 대전에 정부대전청사가 입주해 있는 점 등을 이유로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됐다. 그러나 세종시가 건설되면서 인근 지역의 인구가 줄어드는 등 역차별 문제가 심화되자 혁신도시 추가 지정을 요청하는 여론이 커졌다. 또 지난 3월 국회에서 혁신도시 추가지정을 담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돼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이 임박했다는 기대가 커졌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