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경 군수사령관·양승조 충남지사·유병훈 논산부시장(왼쪽부터)이 15일 충남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국방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고 내용을 공개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남 국방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가시화됐다.
충남도·군수사령부·논산시는 15일 충남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국방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 기관은 △국방 국가산단 조성 △국방 관련 기관 및 기업 유치 △전력지원체계 산업 발굴 △도내 기업의 국방부품 국산화 사업 협력 △부품 국산화 개발 촉진 관련 업무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또 국방 국가산단을 향후 전력지원체계 산업의 중심이자,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첨단 방위 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키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충남 국방 국가산단은 논산시 연무읍 일대 103만㎡에 2천억원을 들여 비무기 산업인 식료품·의료·전기장비·통신 등 군수물자 생산기업과 충남국방벤처센터·국방산학융합원 등 연구시설을 유치하고 육성해 전력지원체계 산업의 플랫폼 구실을 하게 된다.
이에 앞서 정부는 2018년 충남도가 제안한 전력지원체계 산업을 집적화하는 충남 국방 국가산단 조성 계획을 받아들여 후보지를 선정했다. 국방 국가산단은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충남도·논산시는 육군사관학교 및 관련 기관 유치를 위해 노력해 왔다.
충남 국방 국가산단은 논산시 연무읍 일대 103만㎡에 2천억원을 들여 조성될 예정이다. 이 산단은 군수물자 생산기업과 충남국방벤처센터·국방산학융합원 등 연구시설을 유치해 전력지원체계 산업의 플랫폼 구실을 하게 된다. 논산시 제공
이어진 국방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가 포럼에서는 김기영 국방부 물자관리과장이 ‘전력 지원체계 국방정책 및 제도’, 손인배 육군본부 사업계획과장이 ‘육군 전력지원체계 현황’, 남동우 공군본부 장비물자사업과장이 ‘공군 전력지원체계 현황’, 정재원 육군 군수사령부 개발지원과장이 ‘부품 국산화 및 군 시험평가 지원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채우석 방위산업학회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서는 정병락 충남도 미래산업국장, 장철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장, 이종호 건양대 교수, 이춘주 국방대 교수, 김재길 육군 군수사령부 기동일반장비과장이 패널로 출연해 군에서 전력지원체계가 차지하는 중요성 등에 대해 토론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방위 산업은 무기체계 위주로 육성됐다. 그러나 장병의 의·식·주 향상과 전투 지속능력 등 전력지원체계 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며 “논산 국방 국가산단을 전력지원체계 관련 생산, 지원, 연구기능이 집적화된 특화 산단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