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금속지부 현대제철 비정규직지회가 19일 충남 당진 현대제철 당진공장 시(C) 정문 앞에서 ‘2020년 임단투 승리를 위한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충남 당진 현대제철 앞에서 노동자 2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제철 비정규직지회는 19일 오후 2시 충남 당진 현대제철 당진공장 시(C)정문 앞에서 조합원 등 2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임단투 승리를 위한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당진공장 1만5천여 노동자 가운데 정규직은 4500여명, 비정규직은 6500여명, 나머지는 외주업체 직원이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같은 노동을 한다”며 “임금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이고 고용보장도 못 받는다. 비정규직을 철폐해 동일임금, 동일복지를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금속지부 현대제철 비정규직지회는 지역에서 집회에 따른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하자 안전집회 대책을 마련해 시행했다.
비정규직지회는 또 “국가인권위는 현대제철에 차별대우를 개선하라고 권고했다. 현대제철은 비정규직인 우리를 도급을 준 협력업체의 정규직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현대제철은 도급업체 사장들을 수시로 교체하고 우리의 임금에도 관여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불법파견 노사관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현대제철 쪽은 “도급계약 당시 제시한 가이드라인의 준수 여부를 따져 조처하는 것이지 협력업체의 운영에 개입하는 게 아니다. 협력업체 노동자도 근무연한을 인정받고 있으며 협력사 노사가 임금협상에 합의하면 이를 반영한 도급비를 책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비정규직지회의 사물함 설치 등 근무 관련 요구 조건은 상당 부분 개선했다. 그러나 동일임금, 동일복지 주장은 불법파견을 인정하라는 것이어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우려와 관련해 비정규직지회는 “울산, 순천 등 타지역의 경우 대표자 외에 노조원은 집회에 참석하지 않도록 조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집회장 입구에 검역소를 설치하고 집회 참석자들의 체온을 쟀으며 손소독제를 비치하고 마스크 착용 등을 확인했다. 또 근무장소별로 집회 구역을 설정하고 노조원간 간격도 조정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가 적용되는 지역에서는 500명 이상 모이는 집회는 당국에 신고하고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경찰은 방역수칙 철저 준수를 조건으로 집회를 허용했다. 이날 당진시는 공무원 100명으로 감시단을 꾸렸고, 충남경찰청도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13개 중대 950명을 배치했으나 충돌 등은 없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사진 독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