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지역별로 상수도 서비스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충남 지역별로 상수도 서비스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가 개선에 나섰다.
도는 23일 오후 충남 홍성군 충남개발공사 회의실에서 ‘충남도 수도종합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는 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도경영연구소·경동엔지니어링 등 용역사와 15개 시·군 담당 공무원, 행정안전부, 한국자치경영정책연구원, 경기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용역사가 도에 제출한 보고서(2018년 기준)를 보면, 도내 상수도 현황 가운데 수도시설 평균 이용률은 69.9%로 적정 수준이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컸다. 최대 이용률은 187.1%로 집계된 홍성군이다. 홍성군은 도청 이전과 내포신도시 건설로 사용량이 증가해 이용률이 높았다. 최소 사용률은 40.8%를 기록한 계룡시였으며, 서천군(46.4%), 보령시(49.7%), 태안군(49.9%)도 이용률이 시설 용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도의 평균 유수율(정수장에서 공급한 물 가운데 요금을 받은 수량 비율)은 전국 84.9%에 비해 낮은 79.7%로 나타나 전문인력과 전담조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가운데는 계룡·논산·당진·서산·아산이 80% 이상, 군에서는 홍성·금산·서천이 70% 이상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청양군 외에 14개 시·군이 영업 손실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수도 요금 가운데 가정용 1단계(1~20㎥) 요금은 시·군별로 차이가 컸다. 1㎥당 보령시는 880원인데 비해 천안시는 510원으로 가장 저렴해 약 1.7배 차이를 보였다. 한국수도경영연구소는 “가정용 1단계 요금으로 월 10㎥의 물을 사용할 경우 보령시는 연간 10만5600원, 천안시는 6만1200원을 부담하게 돼 4만4400원의 차이가 난다. 도시 기반시설에 따른 수돗물 공급 효율성이 요금이 차이가 나는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누진 단계도 시·군이 3~5단계까지 달랐다.
급수 보급 현황은 동·읍 지역의 경우 각각 99.7%, 94.1%로 높았으나, 면 지역은 72.4%로 격차가 컸다. 또 도내 모든 지자체가 수도시설 신규 투자 여력이 없으며, 공주·금산·부여·서천·홍성·태안 등 6개 시·군은 현행 수준 유지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용역사는 △유수율 관리 고도화,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 △도내 수도시설 통합 운영, 물 소외지역 서비스 확대 △통합 정보시스템 기반 상시 콜센터 운영, 수도요금 체계 개선 △미래 물관리 체계 도입 등을 제안했다. 또 상수도 시설 통합을 고려해 △북부권(천안·아산) △남부권(논산·공주·부여·금산·계룡) △서부권(서산·보령·서천·예산·태안·홍성·청양·당진)으로 관리권역을 최적화할 경우 연간 1957억여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도는 이번 용역 결과와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해 수도종합계획 최종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도 물관리정책과 관계자는 “도민 누구나 공평하고 편리한 수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상수도 운영·관리 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중앙정부 및 시·군과 협의해 새 지방상수도 운영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