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유역환경회의 대전지역위원회 환경운동단체들이 27일 오전 세종시 연기면 세종보 위에서 “환경부는 4대강 보 해체 시기를 조속히 결정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세종환경운동연합 제공
금강유역환경회의 대전지역위원회는 27일 오전 세종시 연기면 세종보에서 ‘보 해체 시기 조속 결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4대강의 보 처리 후속 대책을 조속히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대전·세종·충남·충북·부여 환경운동단체 등이 참석했다.
금강유역환경회의는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지난 1월18일 보 처리 방안을 발표했으나 단서로 붙은 독소조항으로 인해 100일이 지나도록 보 해체 시기 등이 확정되지 못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는 4대강 재자연화를 공약했으나 4대강 16개 보 가운데 금강·영산강 5개 보 처리 방안을 결정하는 데만 4년을 허비했고, 낙동강·한강은 수문개방도 못 했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수문이 개방된 금강은 멸종위기종 흰수마자와 미호종개가 돌아왔고 수달과 삵의 흔적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수많은 새도 모래톱을 찾고 있는 등 자연성 회복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며 “정부가 보 해체 결정을 뜸 들이는 사이 지자체 등은 4대강 사업에 말뚝을 박기 위해 여러 하천사업을 벌이려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우려했다.
이어 참가 단체들은 “환경부는 보 해체 타당성이 뚜렷하게 입증된 만큼 농업용수 부족이나 지자체의 이해관계에 따른 대립 등을 반복적인 논쟁거리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는 “환경부는 금강 세종 구간의 자연성 회복 선도사업과 세종보 해체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 해체 시기를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며 “금강 사례를 발판삼아 낙동강·한강 보 해체 등 4대강 16개 보의 해체 로드맵도 마련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