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지역경제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충남도 제공
충청권에 지방은행이 있어야 자금 역외유출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금융 양극화를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청권의 지방은행 되살리기 움직임이 가시화할지 관심이 쏠린다.
충남도는 3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지역경제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양승조 충남지사와 금융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 배경 및 쟁점 설명, 발제, 종합토론 및 의견수렴 등이 이어졌다.
충남도는 충청권에 지방은행이 없어 △지역 금융경제 낙후 △지역 자금 역외유출 △금융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금융 양극화 심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충청권은 지방은행이던 충청은행이 1997년 발생한 아이엠에프(IMF) 구제금융 사태에 따른 금융 구조조정으로 이듬해 6월 퇴출된 뒤 21년째 지방은행이 없다.
유성준 충남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발제에서 “2019년을 기준으로 충남도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14조6419억원으로 전국 3위에 달하지만, 역외유출 규모는 25조477억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충남의 경제 발전에 기여해야 할 자금이 지속적이고 대규모로 밖으로 유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이사장은 “지난해 국내 예금은행 기준 수도권 예금은 전국의 70.8%, 대출은 65.9%에 달했으나 충남 예금은 전국의 1.6%, 대출은 2.2%에 불과했다”며 “충청권 지방은행이 설립되면 지역 자금을 효과적으로 조달하고, 조성된 자금을 지역경제 발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지역 금융이 활성화하고 중소기업 대출도 연고 및 비재무 정보만으로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 금융 생태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전국에는 부산,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곳에 지방은행이 있으며 총자산 규모는 233조5900억원”이라고 밝혔다.
토론회를 마친 충남도는 조만간 지역 금융 활성화 티에프(TF)팀을 꾸리고 사업 추진 연구지원단을 구성하는 등 지방은행 설립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충청권행정협의회 의제로 상정해 공동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공약이 되도록 제안하기로 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역내 자금을 효과적으로 조달해 지역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금융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이바지할 든든한 금융 버팀목이 필요하다. 지역 경제와 상생하고 지역민과 동행하는 지방은행을 설립해야 한다”며 “범충청권 추진단을 발족해 금융 당국과 정치권에 충청권 지방은행의 필요성과 공감대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