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복합쇼핑몰 광주상인대책위 주최로 기자회견이 열렸다.
“광주시에서 복합쇼핑몰을 유치한다고 하니까 대기업들이 하이에나처럼 달려들잖아요? 그런데 중소상인들과는 대화 한마디가 없어요.”
23일 오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는 복합쇼핑몰 광주상인대책위(이하 대책위) 주최로 기자회견이 열렸다. 대책위에는 광주광역시 상인연합회, 전통시장상인연합회, 슈퍼마켓협동조합 등 14개 중소상인 단체가 참여했다.
이현민 대책위 사무총장은 “시가 복합쇼핑몰이라는 폭탄을 던져 놓고 이해 당사자인 중소상인들과 시가 한마디 협의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책위는 이날 유통 대기업 3사가 입점계획을 앞다퉈 발표하는 시점에서 시와 상인 간 소통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책위는 “지난 민선 6기와 7기는 어등산관광단지개발을 위한 민관협의체를 꾸려 광주 상인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협의안을 끌어냈다. 하지만, 민선 8기들어 광주시는 중소상인들과 복합쇼핑몰과 관련한 협의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광주시장은 이해 당사자자 상인들을 허심탄회하게 만나 시의 입장을 제대로 밝히고 복합쇼핑몰 관련 민관협의체 구성과 운영방안을 약속하라”고 요구했다.
1만4215㎡(4300평) 규모의 쇼핑센터인 광주시 서구 치평동 세정아울렛에는 모두 200여곳의 매장이 있다.
이들은 또 유통 대기업 3사가 입점할 경우 직격탄을 맞을 것을 우려하며 ‘상권영향평가’ 실시를 촉구했다. 대책위는 “시는 매출 피해가 예상되는 업종과 지역상권을 보호하고, 대기업들의 유통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 가이드라인부터 수립하라”며 “복합쇼핑몰의 중복입점 규제를 약속하고 명품 매장 한정 등 동종업종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출하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 대책위는 “애초 복합쇼핑몰 사업은 민간과 지방자치의 영역이지 국가사업으로 다룰 일이 아니었다”며 “현 정부는 국정과제에서 광주 복합쇼핑몰 유치를 당장 제외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현대백화점은 지난달 6일 옛 전남·일신방직 터에 대규모 미래형 문화복합몰 ‘더현대 광주(가칭)’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고, 신세계그룹도 지난 17일 복합쇼핑몰과 백화점 확장 건립 계획을 동시에 발표했다. 롯데그룹도 복합쇼핑몰 구상을 내놓기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사진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