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농민들이 정부가 신동진 벼를 공공비축미 매입대상에서 제한하자 20일 전북도청 앞에서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전북농업인단체연합회 제공
전북지역 농민들이 전북 대표 쌀 품종인 ‘신동진’ 벼가 공공비축미 매입대상에서 제한되자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전북농업인단체연합회는 20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농림축산식품부가 신동진 벼를 매입 제한품종으로 지정했다. 소비자가 뽑은 12대 브랜드 쌀에 가장 많이 선정될 만큼 맛과 품질이 입증된 벼인데, 수확량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매입하지 않겠다는 정부 기준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전북지역 쌀 농가의 53%가 신동진 벼를 재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갑작스레 새 품종으로 바꾸는 것은 무리다. 정부는 벼 보급종 수매계획을 일방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농민들과 재논의해 달라”며 “현장중심적 벼 보급종 수매계획으로 안정적 식량정책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정부는 쌀 재고량 적정 유지 및 품종 다양화, 생산단수 정부 기준 초과 등을 이유로 신동진 등을 2024년부터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품종에 추가하고, 2025년부터 정부 보급종 공급에서 중단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전북지역은 지난해 기준, 신동진 재배면적이 6만㏊로 전체 11만4천㏊의 53%를 차지한다. 전북지역 14개 시·군별로는 군산이 73.1%로 가장 높다. 군산시의회는 지난 14일 정부와 국회 등에 보내는 건의안을 채택해 “신동진은 전북을 비롯해 충남, 경남 일부 지역에서도 재배해 전국 재배면적 1위 품종이다. 10a당 570㎏ 이상 소출이 나는 벼품종을 정부 보급종에서 전면 퇴출하는 정부의 쌀 정책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전북도는 신동진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을 2025년까지 유예하도록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한편 이 단체는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값 안정화를 위한 첫걸음이다.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판단하지 말고 농업·농민을 위해 반드시 개정안을 통과시키라”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