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모습. 전남도 제공
거랭이를 이용한 섬진강 재첩잡이가 우리나라 어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에 올랐다.
전남도는 10일 “지난 4~7일 열린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을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전남 광양과 경남 하동 섬진강 하류 일대에서 선사시대부터 이어져 왔다. 사람이 물에 들어가 ‘거랭이’라는 도구로 강바닥을 긁어 재첩을 잡는 방식이다. 거랭이는 일정 간격으로 철사를 엮어서 어린 재첩은 모래와 함께 빠져나가게 하고 일정 크기 이상 재첩만 잡을 수 있는 도구다.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2018년 해양수산부 지정 제7호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등재된 뒤 2020년 1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신청을 했다. 세계중요농업유산 과학자문위원회는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식량·생계안정에 기여, 생물다양성, 전통적 지식체계, 문화·가치체계로 전통 어업문화와의 연계 등 농업유산 지정 기준을 충족했다고 봤다.
전남에서는 완도 청산도 구들장 논농업, 담양 대나무밭 농업에 이은 세 번째,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밭담 농업, 하동 전통 차농업, 금산 인삼농업 등에 이어 여섯 번째 지정이다.
전남도는 5월 신안 갯벌천일염업도 등재 신청을 하는 등 추가 어업유산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가 2002년부터 지정해 온 세계중요농업유산은 현재 25개국, 74곳이 등재됐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