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가운데) 광주광역시장과 장휘국(왼쪽) 광주광역시 교육감이 14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민간기관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가 이후 네차례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난 광주 중·고교생 2명과 관련해 광주시와 질병관리본부가 엇갈린 해석을 해 혼란을 빚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14일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감염 의심자인 2명을 이날 0시 기준으로 각각 광주 33번째, 34번째 확진자로 질병관리본부 시스템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에 입원 중인 학생들이 증상이 없고 24시간 간격으로 두차례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이었기 때문에 퇴원 기준에 부합한다는 소견을 냈으나, 질병관리본부는 확진자로 분류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질본은 14일 확진자 발표에서 이들 2명을 유보했다. 광주시 감염병관리팀 관계자는 “어제(13일) 질병관리본부에서 2명을 오늘(14일) 0시 기준으로 각각 광주 33번, 34번 확진자로 질본 시스템에 등록하라고 했다. 해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현재도 (질본은) 검토 중으로 보류 상태”라고 말했다.
해당 학생들은 유덕중 1학년 ㄱ군과 대광여고 2학년 ㄴ양인데 모두 다섯차례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지난 11일 선별진료소에서 했던 첫번째 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나온 것을 빼고는 이후 네차례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광주시는 확진에 준하는 대응에 나섰다. 유덕중 학생·교직원 등 419명과 대광여고 학생·교직원 등 699명을 더한 1118명 가운데 117명을 밀접접촉자로 구분해 자가격리를 통보하고 1118명한테 검사를 받도록 했는데 모두 음성이 나왔다.
또 등교일을 고려해 유덕중은 22일, 대광여고는 24일까지 원격수업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의 특별한 조처가 있으면 등교수업이 당겨질 수도 있다. 밀접접촉자를 뺀 교직원은 정상 출근해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지원한다.
ㄱ군과 ㄴ양은 최근 수도권 방문과 국외를 여행한 사실이 없고, 방문·여행자와의 접촉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와 광주시는 학생들이 양성에서 음성으로 바뀐 경위와 원인 등을 파악하고 있다.
광주시 보건당국은 “이례적인 사례여서 원인과 앞으로 처리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어쨌든 방역조처는 확진자에 준하여 빈틈없이 실시할 것이니 시민들께서는 예방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