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걷는다 붓다와 함께〉
달라이라마 제자로 22년간 티베트서 수행
청전스님 국내와 히말라야 걸친 만행기
거리·일터서 만난 이웃들의 이야기 담아
청전스님 국내와 히말라야 걸친 만행기
거리·일터서 만난 이웃들의 이야기 담아
〈나는 걷는다 붓다와 함께〉
청전 지음/휴·1만2000원 히말라야에서 사는 청전 스님(57·사진 오른쪽)은 많이 걸었다. 히말라야 고봉을 오르는 유명 산악인들의 대부분은 정해진 루트만을 다니지만 그에게 정해진 길은 없다. 히말라야는 넓다. 같은 히말라야지만 그가 사는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서 티베트 접경 라다크까지는 비행기와 차를 갈아타고도 꼬박 3일이 걸리는 거리다. 그 길을 산맥 6개를 넘어서 걸었던 그다. 티베트에 있는 성산 카일라스를 순례할 때도, 석 달 동안 걸어서 도달할 만큼 그는 걷는 데 이골이 난 사람이다. 티베트의 망명 지도자 달라이라마(왼쪽)에게 꽂혀 달라이라마를 스승으로 모시며 인도 히말라야에 산 지 22년. 그는 티베트 밀교를 수행한다지만 그가 한 진정한 수행은 순례이자 만행인지 모른다. 인도와 네팔, 부탄, 파키스탄, 티베트, 중국에 걸쳐 있는 히말라야의 곳곳을 아마도 그처럼 많이 누빈 사람도 세상엔 흔치 않을 것이다. 해마다 여름이면 한국의 지인들이 보내준 의약품과 안경, 내의를 지프차와 말에 번갈아 싣고 가서 나눠주기 위해 한 달 동안 라다크의 오지를 누비는 것 말고도 그는 틈만 나면 히말라야 구석구석을 누빈다. 그런 역마살이 인도에 가서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애초부터 그는 만행을 좋아했다. 언제부턴가 한국에선 머리 깍은 출가승이 절 문 밖을 나서면 동냥중이나 걸인 취급을 받아 탁발이 사라졌지만 그는 국내에 머물던 1980년대까지도 절집만이 아니라 민가에 깊숙이 파고들곤 했다. 그렇게 화전민촌에서, 또는 길에서 만난 인연들이야말로 그의 삶이 낳은 ‘사리’였다.
달라이라마(왼쪽) · 청전 스님(오른쪽)
그리고 그가 걸었던 붓다가 2500년 전 석가모니라기보다는 거리에서 또는 집에서, 일터에서 늘상 만나거나 그곳에서조차 밀려난 사람들임을 알게 된다. 그에게 붓다는 우리의 눈물샘을 솟구치게 하는 민초이며 자비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