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공동 역사 교과서가 발간된 데 이어 한국과 일본의 그리스도인들이 한일 과거사를 넘어 상생의 미래를 열기 위한 공동선언을 했다. 지난 20~22일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에서 3일간 열린 심포지엄 뒤 채택된 선언이다. 심포지엄은 ‘해방 60년, 한일국교수립 40년-21세기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생’이란 긴 주제였다.
이 선언엔 일본에서 ‘외국인등록법 문제를 취급하는 전국 그리스도교 연락협의회’와 ‘일본 그리스도교 협의회의 재일 외국인 인권위원회’ 등이, 한국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인권위원회’, ‘한국교회 재일동포 인권선교협의회’,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대표 등 18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선언에서 한일 양국 정부에 대해 한일 국교 교섭의 기록문서를 전면 공개할 것과 함께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제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식민지 지배 관련 자료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연행, 강제 노동 등에 대한 전후 보상을 실시하는 내용으로 새로운 한일협정을 체결하고, 북일 국교 조약도 체결할 것을 촉구했다. 이 선언엔 일본정부가 이주 노동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을 비준하고, 인종(민족)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는 안도 포함돼 있다.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이기우 신부는 “한일 그리스도인들이 3일 간 협의 끝에 화해와 신뢰를 위한 이런 방안을 채택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일본의 우경화와 군사화를 막으려 ‘평화를 위한 공동 기도의 날’도 제정하기로 했다.
조연현 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