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안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인문한국(HK) 연구교수가 바티칸 문서고에 보관된 필사본 문헌의 복사본 묶음을 소개하고 있다. 전체 6권으로 이뤄진 이 문헌 자료는 19세기 조선 가톨릭 신자들의 구술을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옮긴, ‘문명의 교차’를 보여주는 텍스트다.
안재원 교수 ‘한국의 성인들Ⅱ’ 출간
성인 추대 103명 비밀보관문서
라틴어·프랑스어 필사본 편집 문헌학자인 안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인문한국(HK)연구교수가 최근 이탈리아에서 <한국의 성인들Ⅱ>(Hagiographica Coreana·사진)란 책을 펴냈다. 바티칸의 비밀문서보관소에 있는 조선 순교자들에 대한 라틴어·프랑스어 필사본 문헌자료 가운데 일부를 ‘비판적 편집’으로 엮은 결과물이다. 지난 10일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세미나실에서 만난 안 교수는 “당시 첨예한 문명의 충돌 현장을 담고 있는 ‘원천자료’”라며 “중국·일본과 다른 한국의 특수한 정체성의 형성과 흐름을 짚어볼 수 있는 종합적인 텍스트”라고 이 문헌을 소개했다. 바티칸 문서고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 순교자 문헌자료는 전체 6권, A4 용지 크기의 종이 5700여쪽에 이른다고 한다. 두 권은 1839~1846년 박해 기간 순교자 82명에 대한 기록이고, 나머지는 1866~1867년 순교한 24명에 대한 기록이다. 이 자료는 1882년부터 1925년까지 400여 차례에 이르는 ‘증인진술집회’(sessio)를 거치며 만들어졌다. 순교자 행적을 확인하기 위해 증인들로부터 48가지 질문 항목에 따라 진술을 받고, 교황청에 보고하기 위해 그 내용을 서구 중세 때부터 개발된 엄밀한 공증형식에 맞춰 기록한 것이다. 모두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쓰인 필사본이다. 오랫동안 잠들어 있던 이 문헌자료를 발견한 이는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문헌학자 이득수(1938~2004) 교수다. 시에나대학에 재직하던 이 교수는 1999년 바티칸 문서고 자료를 열람하면서 이 자료의 존재를 알렸으나, 2004년 간암으로 급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그 뒤 2007년, 이 교수가 시에나대학에 설립한 ‘한국·이탈리아 비교문학연구소’(현재 명칭은 ‘이득수연구소’)의 현지 학자들이 첫 편집본인 <한국의 성인들Ⅰ>을 펴냈으나, 결국은 “이 교수의 조언으로 문헌학의 길에 들어섰다”는 안 교수가 고인의 평생 과업을 이어받게 됐다. “당시 순교자들 기적체험 없이
교리를 ‘말과 논리’로 수용
유학과 그리스도교 세계관 섞여” 이 곡절 많은 자료들은 무엇을 담고 있을까? 안 교수는 “당시 가톨릭 신앙을 따랐던 민중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기 가톨릭 신자들은 정약종과 그 아들 정하상 같은 지식인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바느질장이·두부장사·도공 같은 하층 상공인들이었다. 증인으로 등장한 ‘덕이’ ‘절벽이’ 같은 당시 평범한 민중의 진술을 통해 이들이 누구인지, 어디서 어떻게 살았는지, 왜 가톨릭 신앙에 몸을 맡겼는지, 서로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 교수는 “정순왕후의 상궁으로 순교한 박 루치아, 젊은 여성 순교자였던 권 아가사, 첫 순교자 윤지충을 마지못해 처형한 뒤 내뱉은 정조의 탄식 등 순교자들의 행적과 당시 이들을 둘러싼 상황들이 서술될 뿐 아니라 이들의 행적을 증언하는 민중들이 스스로의 삶을 말한 기록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문헌 자료에 있는 교인들의 증언 속에서 시복·시성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여겨지는 ‘기적 체험’을 좀처럼 찾아볼 수 없으며, 교리 자체를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고 믿음의 길로 나아간 모습이 도드라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당시 우리나라 민중들은 신비한 종교적 체험을 겪지 않았더라도, 가톨릭 교리 자체를 ‘말과 논리’에 입각해 옳다고 판단하고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심지어 어느 교인이 자신을 심문하는 관리와 옳고 그름을 놓고 논쟁을 벌이는 대목도 나온다고 한다. “서양의 ‘물질 문명’을 먼저 받아들인 이웃나라들과 달리 우리는 서양의 ‘정신’을 먼저 받아들였습니다. 기독교·민주주의 전통이 유난히 강한 오늘날 우리의 정체성이 형성하고 발달해온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자료를 통해 자생적인 한국 근대화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는 풀이다. 또 ‘말과 논리’에 입각해 ‘정신’을 먼저 받아들였던 이유로는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본다”고 그는 말했다.
바티칸 문서고에 보관된 필사본 문헌 가운데 일부. 권 베드로 성인에 대한 행적과 신앙의 실제를 조사하기 위해, 1883년 9월7일 한양골에서 심판관 뮈텔 신부가 증인으로 나선 김 아가사를 심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안재원 교수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