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독서
불교의 여성성불 사상
이창숙 지음/인북스·1만5000원 ‘다음 생엔 남자 몸으로 태어나게 해주소서’. 나이 든 비구니(여승)나 보살(여성 불자)들에게서 종종 이런 기도 소리가 터져나온다. 여성의 몸으로는 성불(부처가 됨)할 수 없다는 뿌리 깊은 여성차별관 때문이다. 1970년대 <한국일보>에서 해직된 여성 언론인 출신이 이 문제를 따져봤다. 20여년 전 동 국대에서 박사학위로 다뤘던 여성 성불론을 다시 꺼내 집대성했다. 저자는 붓다를 여성 해방을 포함한 인간해방가로 본다. 2600여년 전 당시 요즘 남녀평등관에서 볼 때는 이해하기 어려운 ‘비구니 팔경법’을 두어 100살 된 비구니라도 갓 출가한 비구에게 예를 표하게 했지만, 이는 500여명의 여성이 한꺼번에 출가한 사회적인 사건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한다. <장로니게>라는 초기불교 문학작품엔 숱한 비구니들의 해탈과 깨달음이 소개된다. 그러나 부파불교 시대에 남성인 붓다의 몸 자체를 신격화하면서 여성은 부처가 될 수 없다는 왜곡된 사상이 만들어졌다. 물론 남성들에 의해서다. 하지만 대승불교에 이르면 <유마경>과 <승만경>을 통해 여성 성불론이 분명하게 부활한다. 저자는 “여성을 교단에 받아들여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정신세계의 동참자가 되게 한 붓다의 뜻에 따라 왜곡된 성불관을 바로잡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이창숙 지음/인북스·1만5000원 ‘다음 생엔 남자 몸으로 태어나게 해주소서’. 나이 든 비구니(여승)나 보살(여성 불자)들에게서 종종 이런 기도 소리가 터져나온다. 여성의 몸으로는 성불(부처가 됨)할 수 없다는 뿌리 깊은 여성차별관 때문이다. 1970년대 <한국일보>에서 해직된 여성 언론인 출신이 이 문제를 따져봤다. 20여년 전 동 국대에서 박사학위로 다뤘던 여성 성불론을 다시 꺼내 집대성했다. 저자는 붓다를 여성 해방을 포함한 인간해방가로 본다. 2600여년 전 당시 요즘 남녀평등관에서 볼 때는 이해하기 어려운 ‘비구니 팔경법’을 두어 100살 된 비구니라도 갓 출가한 비구에게 예를 표하게 했지만, 이는 500여명의 여성이 한꺼번에 출가한 사회적인 사건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한다. <장로니게>라는 초기불교 문학작품엔 숱한 비구니들의 해탈과 깨달음이 소개된다. 그러나 부파불교 시대에 남성인 붓다의 몸 자체를 신격화하면서 여성은 부처가 될 수 없다는 왜곡된 사상이 만들어졌다. 물론 남성들에 의해서다. 하지만 대승불교에 이르면 <유마경>과 <승만경>을 통해 여성 성불론이 분명하게 부활한다. 저자는 “여성을 교단에 받아들여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정신세계의 동참자가 되게 한 붓다의 뜻에 따라 왜곡된 성불관을 바로잡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