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 독서]
416세월호참사 국민조사위원회 지음/북콤마·1만5000원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지난해 9월 해산당한 뒤 ‘416세월호참사 국민조사위원회’가 탄생했다. 특조위 조사관, 유가족, 연구자, 봉사자들이 모여 지난 1월 문을 연 국민조사위는 특조위의 역할을 시민 스스로 이어가는 민간 기구다. ‘2기 특조위’를 예비하는 국민조사위가 펴낸 <세월호참사 팩트체크>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밝혀진 것’과 ‘밝혀야 할 것’을 크게 6개 분야로 정리한다. 침몰 원인, 구조 방기, 인양 과정, 선체 조사, 국가기관의 조사 방해, 언론의 오보. 인양 과정을 다룬 4장 ‘인양과 선체 조사’는 특기할 만하다. 특조위가 해산된 뒤 착수된 세월호 인양 과정을 기록하고 남은 의혹을 제기한 사실상 최초의 보고서이기 때문이다. ‘인양 업체 선정 절차가 공정했는가’ ‘인양 방식을 선택할 때 유실 방지와 선체 훼손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는가’ ‘정부가 인양을 고의로 늦췄는가’. 이 세 가지 질문으로 세월호 참사의 ‘현재’를 관통한다. 책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전면적 재수사의 출발이 ‘해경 초계기 B-703호’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참사 당일 오전 9시26분 사고 현장에 도착한 B-703호는 10시14분 인명 구조가 급하다고 인근 헬기들에 교신한다. 그러다가 10시39분 돌연 진입할 필요가 없다고 태도를 바꾼다. 낮 12시42분 현장을 떠날 때까지 세월호와 한 번도 교신하지 않았다. “구조를 다그치던 해경 항공기는 왜 25분 만에 돌변했는가.” 국정원과 세월호의 연결고리, 박근혜 정부의 수사 방해(특조위 해산) 뒷얘기도 비중 있게 다뤘다. 석진희 기자 nin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