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중년을 ‘고통스러운 노화’로 보내지 않는 법

등록 2018-11-30 06:01수정 2018-11-30 19:34

마흔에 관하여
정여울 지음/한겨레출판·1만3800원

정여울 작가의 ‘중년 예찬’ 에세이. 상처가 곪는 대신 어떻게 단단한 옹이로서 회복되는지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작가. 치유와 성장, 관계, 여행, 예술을 글감 삼아 문학과 심리학을 아우르는 문장가의 솜씨가 이 책에서도 여실하다.

40대를 통과 중인 저자의 받침점은 ‘가장 나다움’이다. 자유. 사회생활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나를 잃지 않겠다는 배포, 불편한 부탁을 거절할 수 있는 용기, 콤플렉스를 미워하는 대신 받아들이는 여유, 더 이상 칭찬받지 않아도 상관없는 자족. 이런 힘들을 저자는 마흔의 축복이라고 말한다. 선물은 아니다. 나이가 든다고 내면의 힘이 저절로 얻어지는 건 아니다. 더 단단하고 자유로워지기 위한 긴 시행착오가 기록된 이 책은 그래서 통절하다. 젊은 날의 불안은 거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 깊어질 때만 줄어드는 불안을 독자는 추체험할 수 있다. 바닥을 가늠하지 못하면 옆으로 아무리 넓어져도 늘 불안하기 마련이다.

저자의 ‘마흔 살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장면은 배움이다. 새로움. “여자라는 이유로, 또는 환경 때문에, 가지지 못한 모든 것들 때문에 몸 사리고, 주저하고, 망설였던 모든 시간들이 아깝지도 않니.” 미룰 것도 거창할 것도 없다. 고전에 능한 노스승과 순댓국 앞에서 ‘향연’을 연다. 첼로를 배우면서 양손잡이가 된 변화, 그림을 배우면서는 색상과 형태를 훨씬 풍부하게 알아볼 수 있게 된 변화…. “자신을 새롭게 재생시킬 수 있다면, 삶은 ‘고통스러운 노화’가 아니라 이 세계와 총체적인 교감의 과정이 되지 않을까.”

석진희 기자 nin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