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이사람] “내 문학 주제는 ‘백성과 나라’였어요”

등록 2007-11-27 18:53

이청준씨
이청준씨
폐암 투병 중 3년 만에 새 소설집 낸 이청준씨
“석양녘 장보따리 거두는 심정으로 책을 꾸몄습니다. 내년이면 나이 일흔인데, 소설을 더 욕심 낼 수 없는 처지가 되고 보니까 부끄럽습니다. 제 몸에 대해서도 부끄럽고 이웃에 대해서도 부끄럽고요.”

이청준씨가 새 소설집 <그곳을 다시 잊어야 했다>(열림원)를 내고 27일 낮 서울 인사동의 한 찻집에서 기자들과 만났다. <꽃 지고 강물 흘러>에 이어 3년 만에 나온 새 소설집에는 표제작을 비롯한 중편 셋과 단편 넷, 그리고 ‘에세이 소설’ 네 편이 묶였다.

“이렇게 책을 묶어 놓고 보니, 작가로서 제가 죽어라 하고 매달려 온 주제가 보이는 것 같아요.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념이나 이데올로기의 문제라 할 수 있겠죠. 나라가 무엇이고 백성이 무엇인지, 백성에게 나라란 무엇인지가 제 문학의 주제였던 것 같아요. 거기서 더 가면 신화가 되겠죠. 신화란 영혼의 형식이고 이데올로기의 심화된 형태라 하겠는데, 저는 거기까지는 가지 못했어요. 후배 작가들이 신화와 영혼의 차원을 좀 더 파고들었으면 합니다.”

2003년 ‘전집 25권’ 갈무리 이후 다섯권째 역작
‘이데올로기 넘어 신화·영혼 세계 탐구’ 후진에 당부
“ 아침마다 일용할 건강 허락받은 것 감사 기도”

표제작은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고국을 방문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이야기를 다룬다. 온 국민이 월드컵에 매달리는 모습이 그의 눈에는 곱게 보이지만은 않는다. 그는 그런 조국을 잊기 위해, 이제까지 자신의 삶을 용서하기 위해 조국을 다시 떠나기로 한다. 중편 <지하실>은 전쟁 때 지하실에 숨었다가 삶과 죽음이 갈린 두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나라와 백성, 이념과 목숨이라는 이청준 소설의 영원한 화두를 더듬은 작품이고, 최근작인 중편 <이상한 선물>은 유년기의 고향 사람들을 신화적 풍모로 되살려낸 소설이다.

이번 책에는 작가 서문과 해설 외에도 평론가 김윤식(서울대 명예교수)씨의 ‘아, 이청준’이라는 발문이 붙어 있다. 이 글에서 김 교수는 “하늘과 땅이 하도 아득하여 앞이 보이지 않을 때, 제일 먼저 보고 싶은 것의 하나가 이청준씨 소설이오”라고 썼다. 1965년 <사상계>에 단편 <퇴원>이 당선되어 등단한 이후 작가로서 그가 거둔 소출은 지난 2003년 모두 25권의 ‘이청준 문학전집’으로 갈무리되었다. 그 뒤에도 작가는 장편 <신화를 삼킨 섬>과 소설집 <목수의 집> 등 네 권의 책을 더 내놓았고, 이번 소설집은 전집 이후 다섯 권째 책이다.


작가는 지금 폐암으로 투병중이다. 대학 입학 이후 피워 온 담배가 탈을 일으킨 것이다. 그는 요즘 주변 친구들을 만날 때마다 ‘담배를 끊으라’는 조언을 잊지 않는다.

“병이란 게 벌 받는 거잖아요. 한번 걸려들었다 하면 담배 끊을 때의 고충보다 수백 수천 배 더한 고통을 겪는 게 바로 이 병입니다. 육체적으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굉장히 힘들어요. 이를테면 지금 자기가 겪고 있는 걸 다른 사람들한테 표현도 함부로 못하게 되는 겁니다.”

작가는 요즘 아침에 눈을 뜨면 제일 먼저 감사의 기도부터 드린다.

“일용할 건강이 오늘도 허락됐구나 하는 감사죠. 그리고는 될 수 있으면 기분이 가라앉지 않도록 애씁니다. 비슷하게 병으로 고생하는 친구는 ‘우리가 직업이 소설가라서 이런 고생을 하는 모양’이라고 하지만, 저로서는 지내 놓고 보니 소설가가 좋은 직업이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힘들기는 했지요. 가능하다면 다시 책을 내고 이런 자리(기자간담회)를 한번 더 했으면 하는 바람, 아니 기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