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 작년 실적 분석
시민단체 ‘종편 감시단’ 출범
시민단체 ‘종편 감시단’ 출범
2012년 종합편성채널(종편) 사업자들 대부분이 재방송 비율과 콘텐츠 투자에서 애초 사업 계획의 절반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노웅래 민주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출받은 ‘2012년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이행 실적’을 보면, 종편 4사의 지난해 재방송 비율은 애초 낸 사업 계획보다 훨씬 높다. 26.8%를 계획한 <티브이조선>은 56.2%로, 23.6%를 계획한 <채널에이>는 56.1%로 사업 계획의 갑절이 넘는 재방송 비율을 보였다. 애초 5.6%를 계획한 <제이티비시>(JTBC)는 10배가 넘는 58.99%의 재방송 비율을 기록했다. 32.9%를 계획한 <엠비엔>(MBN)은 40%를 기록했다.
재방송 비율이 이처럼 높은 것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시청자들의 선택권을 강화해주겠다는 종편의 출범 목표와 어긋난다. 지상파 채널들의 재방송 비율은 10~20% 수준이다.
종편 4사는 지난해 콘텐츠 투자액도 애초 계획에 한참 못 미쳤다. 1590억원을 투자하겠다던 티브이조선은 606억원, 1804억원을 계획한 채널에이는 985억원, 1659억원을 계획한 엠비엔은 711억원을 집행해 계획된 액수의 절반도 쓰지 않았다. 2562억원을 계획한 제이티비시는 1647억원을 집행해 겨우 절반을 넘겼다.
종편 사업자들이 이행 실적을 제출하면서 ‘공정보도 에디터 회의’, ‘팩트체커제 도입’ 등을 내세워 ‘방송의 공적 책임, 공공성, 공익성 실현’을 모두 이행했다고 밝힌 것도 비판을 받고 있다. 노 의원은 “5·18 왜곡 보도 등에서 나타난 것처럼 종편들이 밝힌 공적 책임과 공정성 실현 방안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고 말했다.
최근 종편 4사가 추가 특혜를 받으려고 진행한 ‘비밀 회동’의 내용을 담은 것으로 추정되는 문건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가운데, 언론 단체들은 종편 감시 활동 강화에 나섰다. 민주언론시민연합과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은 20일 ‘종편 감시단’을 함께 구성하고 ‘종편 감시 신고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종편에 대한 모니터 활동을 강화하고, 왜곡·편파 보도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두 단체는 “9월에 시작하는 종편 재승인 심의를 맞아 종편 선정 과정의 불법·부당성을 적극 공개하고, 공정한 재승인 심사 기준안을 제시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한 재승인 절차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값싸고 살 안찌는 여름 보양식의 정답
■ 한국산 최루탄, 터키 시위대를 진압하다
■ ‘홍명보 감독이 부른다면’ 질문에 박지성은…
■ [esc] 유시시, 슬로건, 여행수기…공모전 달인이 말하는 당선 비법
■ [화보] 백년된 기둥이 살고 마당 헝겊꽃엔 새들이…
■ 값싸고 살 안찌는 여름 보양식의 정답
■ 한국산 최루탄, 터키 시위대를 진압하다
■ ‘홍명보 감독이 부른다면’ 질문에 박지성은…
■ [esc] 유시시, 슬로건, 여행수기…공모전 달인이 말하는 당선 비법
■ [화보] 백년된 기둥이 살고 마당 헝겊꽃엔 새들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