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여행하는 카메라’ 본 아이들, 새 세상 알게 됐죠”

등록 2014-09-14 22:05수정 2015-01-15 14:32

예술심리치료사 김정화(44) 씨
예술심리치료사 김정화(44) 씨
[짬]카메라 우체부 김정화 예술심리치료사


예술심리치료사 김정화(44·사진)씨는 최근 ‘카메라야 부탁해!’ 프로젝트를 위해 ‘카메라 우체부’ 모집을 시작했다. ‘카메라 우체부’는 어려운 상황의 지구촌 어린이들을 찾아가 카메라를 들려주고 직접 사진을 찍게 한 다음 스스로 자긍심을 찾아가도록 돕고, 다시 이들이 찍은 사진이 들어 있는 카메라를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나라 아이들에게 전달하여 사진을 보고 또 촬영하게 하는 릴레이 프로그램이다. 전달받은 아이들은 외국 친구들이 찍은 사진을 보면서 느낀 바를 글로 남기기도 하고 사진으로 답장을 보내기도 한다.

김씨는 1994년에 구성작가로 출발해 10여년간 <티브이(TV)는 사랑을 싣고>, <도전 골든벨> 등 프로그램을 썼고 1억짜리 공모전에 당선된 시나리오를 쓰기도 했다. 2011년 처음으로 카메라 우체부 활동을 시작해 지금까지 한국, 베트남, 미얀마, 몽골에서 활동을 했고, 이번에는 더 많은 나라에서 더 많은 이들과 함께 이 일을 하고 싶어서 ‘카메라 우체부’를 모집하고 있다. 13일 김씨를 만나 인터뷰했다.

2011년부터 베트남·미얀마 등
아이들이 릴레이로 사진 찍기

다른 나라 친구가 찍은 사진 보며
몽골선 “베트남선 슬리퍼 신냐?”
미얀마선 “몽골 눈쌓인 나무 신기”
지구촌 곳곳 접하며 자존감 높여
서랍 속 디카, 새 세상 보여주는 창구

-카메라 우체부라는 발상은 어떻게 나온 것인가?

“작가 생활을 오래 했으나 그게 나에게 진정으로 맞는 이름인지 의문이 들어 접었다. 마흔의 나이에 국제구호단체의 자원활동가로 일했다. 그때 네팔의 한 보육원에 간 적이 있는데 그곳은 부모나 친척들이 팔아넘긴 아이들이 모여 있는 곳이었다. 아이들은 아주 예뻤다. 같이 놀다가 내가 가진 카메라를 신기해하기에 찍어보라고 줬더니 세상에… 나보다 더 좋은 사진을 찍기도 하는 게 아닌가! 물론 흔들린 것도 있었지만. 그때 사진의 힘, 사진의 의미에 대해 깨닫게 되었다. 카메라를 다른 나라의 아이들에게 전달한다는 생각은 역시 내 개인적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배낭여행자 시절 터키의 게스트하우스에 장 그르니에의 <섬>을 남겨둔 적이 있다. 내가 밑줄도 치고 어떤 구절엔 내 생각도 적어둔 손때 묻은 책이다. 한국에서 온 다른 여행자들이 보고 나서 또 다른 곳에 책을 전달하길 희망한다고 썼다. 신기하게도 몇 달 뒤 후배 하나가 어떤 나라에서 내가 남긴 <섬>을 봤다는 것이다. 몇명의 여행자들이 거기에 자신의 밑줄과 생각을 추가한 상태로. 이런 체험들을 종합하여 ‘카메라야 부탁해!’를 시작하게 되었다.”

-현지의 활동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각 나라에서 5~6명의 아이들과 열흘 내지 2주간 같이 지내면서 카메라를 주고 사진을 마음대로 찍게 한다. 다만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 찍기’, ‘누군가에게 선물하고 싶은 무엇인가를 찍기’ 등 몇 가지 임무는 정해줬다. 이 카메라를 다음 나라의 아이들에게 전해주고 사진에 대한 답장과 반응을 청취하고 또 사진을 찍게 하여 이어나가는 것이다. 2차 방문 때 베트남, 미얀마, 몽골의 아이들 모두에게 한 대씩의 카메라를 주고 왔다. 지금도 찍고 있을 것이다.”

-경비는 어떻게 마련했나?

“사업비 일부는 크라우드펀딩으로 마련했다. 기획안을 보고 취지에 동의한 43명의 후원자들이 300만원을 만들어 주더라. 그 돈으로 카메라를 사거나 아이들에게 줄 선물, 현지 경비 등을 해결했다. 물론 여행 경비는 내가 부담하는 것이고. 이번에 모집하는 ‘카메라 우체부’도 마찬가지다. 프로젝트의 취지에 공감하며 기꺼이 자원 활동을 감수할 수 있는 열정 있는 사람들이면 누구든 동참할 수 있다. 페이스북의 사이트(www.facebook.com/Mytravelingcamera)에 들어오면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카메라 우체부들이 서로 사연과 사진을 나눌 수 있다. 카메라 우체부가 되고 싶은 분들은 먼저 전자우편(naviya70@naver.com)으로 문의해주길 바란다. 현지 활동엔 참여할 수 없다면 집에서 안 쓰는 디지털카메라를 기증하는 것으로 동참할 수 있다.”

-가난한 아이들한테 사진을 찍게 해준다고 자존감이 올라가는 것인가?

“한국에선 카메라가 흔한 편이니 그런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아이들에게는 다르다. 카메라를 난생처음 보는 아이들도 많다. 그래서 카메라가 주어지면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됐다는 사실 하나만 가지고도 역사에 남을 사건인 듯 여긴다. 그러고 나면 이런 천재들이 없다. (디지털이니) 금방 익숙해지고 신나게 찍고 논다. 내가 아이들을 찍는 것과 아이들이 스스로 자기들이나 자신의 나라를 찍는 것이 너무나 다르다.”

-아이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 결과물을 소개해달라.

“아이들에겐 외국이란 개념이 없었다. 그러다가 다른 나라 아이들이 찍은 사진을 보면서 우물 밖 세상에 눈을 뜨게 되었다. 몽골의 이칭허를러(12)는 ‘베트남 아이들이 길에서 슬리퍼를 신는 게 신기하다’고 했다. 미얀마의 휴윗느웨(12)는 ‘눈 덮인 산을 미얀마에선 볼 수 없어요. 몽골의 눈 쌓인 나무는 크리스마스트리 같아요’라고 했고, 역시 미얀마의 아가수(9)는 ‘미얀마에도 소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 찍었어요. 너희 나라에만 있는 게 아니라 우리도 소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몽골의 뭉흐바트(12)는 ‘다른 나라 소에 비해 우리나라 소가 몸집이 커요!’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김씨는 ‘카메라 우체부’ 경험과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은 책 <여행하는 카메라>(부제: 카메라 우체부 김정화의 해피 프로젝트)를 이달 안에 펴낼 예정이다.

글·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