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너의 탄생이 패배가 아니듯

등록 2016-09-02 19:01수정 2016-09-02 21:13

[토요판] 고민정의 시
나 방
   조기영

어둠의 미로에서
이슬의 출산을
기다리는 밤

하늘 엉덩이는
앞산 천장까지 내려와
꽃을 잉태한 여인처럼
달을 토해내는데

밤마다 달빛을 이다
허리가 휜 골목에서
나방이 가로등을 두드려
낮으로 들어가려 하네

밤은
고향은
실패가 아닌데

너의 탄생이 패배가 아니듯

가지마라
나방


“당신은 나비입니까, 나방입니까?”

라고 묻는다면 다들 뭐라고 답할까?

나비는 늘 예쁘게 묘사된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모습에서는 자유를, 여러 가지 색깔을 보면서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수천 년 전 장자(莊子)도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를 물었지, 내가 나방인지 나방이 나인지를 묻지는 않았다. <바다와 나비>의 김기림 시인도 바다를 무서워하지 않는 존재로 나비를 불러냈다. 이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나비를 닮고 싶은 표상으로 상정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 하지만 어디 우리 삶이 그런가.

난 아나운서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이 직업은 많은 젊은 여성들이 되고 싶어하는 자리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은 종종 나비로 인식된다. 하지만 정작 난 때때로 스스로를 나방이라고 느낀다.

방송을 한 지 1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알아보는 사람보다 몰라보는 사람들이 더 많다.

“아줌마, 이것 좀 하나 먹어봐요”라고 말하는 과일가게 아저씨.

“애들 어린이집 보내고 나면 뭐 하세요?”라고 묻는 집 앞 놀이터에서 만난 동네 주민.

그런 날이면 어김없이 같이 사는 남자에게 하소연을 늘어놓는다. 이젠 제법 굳은살이 박였을 법한데도 내 마음엔 새살이 어찌나 빨리 돋는지 늘 새롭게 아프다. 내 딴에는 내 색깔을 살려 최선을 다한 방송이었지만 연극 속 행인 1, 2, 3처럼 누가 해도 상관없는 자리로 보일 때, 춤이나 노래 등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만한 특기 없냐는 제작진의 질문에 보여줄 건 그저 멋쩍은 미소밖에 없을 때, 방송 중 말끝마다 덜컹거리고 뻔한 말들만 입 밖으로 나올 때 난 속으로 되뇐다.

‘역시 난 아나운서의 자질이 없어.’

자학이 시작된다. 스스로를 짜증나게 하고 끈적끈적한 기분으로 만든다. 아무리 털어도 깨끗이 떨어지지 않는 바닷가 모래가 온몸에 묻은 것 같은 기분이다. 급기야는 지구 내핵에 가닿을 기세로 땅을 파고 들어간다. 이 순간 난 나방이다.

남의 시선 상관없이 우린 종종 나방이 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상위 3%에 들지 않으면 누구에게도 인정받을 수 없는 건가요? 라고 하소연하는 수험생, 명문대를 졸업했지만 몇 년째 백수인 취준생, 낮엔 회사에서 넥타이 메고 일하지만 퇴근 후엔 반찬 배달을 하고 있다는 가장. 내가 진행하고 있는 라디오 청취자들의 자화상이다. 나방의 몸부림이다. 뭐라고 말해줄 수 있을까. 힘내라는 뻔한 말만 되풀이해야 하나? 당신 잘못이 아니라 사회구조의 문제라고 강연이라도 해야 하나? 그때쯤 이 시가 내 마음을 나방이 가로등에 부딪히듯 요란하게 두드렸다.

고민정 아나운서
고민정 아나운서
뱃속에 있을 때부터 나비야 동요를 들으며 나비의 꿈을 꿔온 우리. 하지만 현실 속의 내 모습은 나방이기 일쑤다. 부인한다고 존재가 달라지지 않음을 알지만 우리는 자꾸 벗어나려 한다. 하지만 이 시는 우리를 강한 손아귀의 힘으로 흔들어댄다. 너의 존재 자체가 패배가 아니라고. 그 힘은 단단하고 뜨겁다. 그 팔을 부여잡고 소리내어 울어본다. 지나가는 바람이 귀밑머리를 간지럽히는 걸 느낄 때까지.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 시대에 詩人(시인)이, 詩(시)가 필요한 이유.

고민정 한국방송(KBS) 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