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고민정의 시
나 방
조기영 어둠의 미로에서
이슬의 출산을
기다리는 밤 하늘 엉덩이는
앞산 천장까지 내려와
꽃을 잉태한 여인처럼
달을 토해내는데 밤마다 달빛을 이다
허리가 휜 골목에서
나방이 가로등을 두드려
낮으로 들어가려 하네 밤은
고향은
실패가 아닌데 너의 탄생이 패배가 아니듯 가지마라
나방
조기영 어둠의 미로에서
이슬의 출산을
기다리는 밤 하늘 엉덩이는
앞산 천장까지 내려와
꽃을 잉태한 여인처럼
달을 토해내는데 밤마다 달빛을 이다
허리가 휜 골목에서
나방이 가로등을 두드려
낮으로 들어가려 하네 밤은
고향은
실패가 아닌데 너의 탄생이 패배가 아니듯 가지마라
나방
“당신은 나비입니까, 나방입니까?” 라고 묻는다면 다들 뭐라고 답할까? 나비는 늘 예쁘게 묘사된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모습에서는 자유를, 여러 가지 색깔을 보면서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수천 년 전 장자(莊子)도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를 물었지, 내가 나방인지 나방이 나인지를 묻지는 않았다. <바다와 나비>의 김기림 시인도 바다를 무서워하지 않는 존재로 나비를 불러냈다. 이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나비를 닮고 싶은 표상으로 상정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 하지만 어디 우리 삶이 그런가. 난 아나운서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이 직업은 많은 젊은 여성들이 되고 싶어하는 자리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은 종종 나비로 인식된다. 하지만 정작 난 때때로 스스로를 나방이라고 느낀다. 방송을 한 지 1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알아보는 사람보다 몰라보는 사람들이 더 많다. “아줌마, 이것 좀 하나 먹어봐요”라고 말하는 과일가게 아저씨. “애들 어린이집 보내고 나면 뭐 하세요?”라고 묻는 집 앞 놀이터에서 만난 동네 주민. 그런 날이면 어김없이 같이 사는 남자에게 하소연을 늘어놓는다. 이젠 제법 굳은살이 박였을 법한데도 내 마음엔 새살이 어찌나 빨리 돋는지 늘 새롭게 아프다. 내 딴에는 내 색깔을 살려 최선을 다한 방송이었지만 연극 속 행인 1, 2, 3처럼 누가 해도 상관없는 자리로 보일 때, 춤이나 노래 등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만한 특기 없냐는 제작진의 질문에 보여줄 건 그저 멋쩍은 미소밖에 없을 때, 방송 중 말끝마다 덜컹거리고 뻔한 말들만 입 밖으로 나올 때 난 속으로 되뇐다. ‘역시 난 아나운서의 자질이 없어.’ 자학이 시작된다. 스스로를 짜증나게 하고 끈적끈적한 기분으로 만든다. 아무리 털어도 깨끗이 떨어지지 않는 바닷가 모래가 온몸에 묻은 것 같은 기분이다. 급기야는 지구 내핵에 가닿을 기세로 땅을 파고 들어간다. 이 순간 난 나방이다. 남의 시선 상관없이 우린 종종 나방이 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상위 3%에 들지 않으면 누구에게도 인정받을 수 없는 건가요? 라고 하소연하는 수험생, 명문대를 졸업했지만 몇 년째 백수인 취준생, 낮엔 회사에서 넥타이 메고 일하지만 퇴근 후엔 반찬 배달을 하고 있다는 가장. 내가 진행하고 있는 라디오 청취자들의 자화상이다. 나방의 몸부림이다. 뭐라고 말해줄 수 있을까. 힘내라는 뻔한 말만 되풀이해야 하나? 당신 잘못이 아니라 사회구조의 문제라고 강연이라도 해야 하나? 그때쯤 이 시가 내 마음을 나방이 가로등에 부딪히듯 요란하게 두드렸다.
고민정 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