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잘못했다. 구차한 변명 역시 질타받을 만하다. 허위학력 논란에 휩싸인 연예인들 말이다. 자신이 알았든 몰랐든, 또한 잘못된 것을 굳이 바로잡고 싶지 않았던 마음에서든 방법을 몰라서든 가짜 학력으로 자신을 속이고 대중을 속인 건 '나쁜 짓'이다.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 사건에서 시작된 허위 학력 파문이 미술계, 연극계를 거쳐 장미희로 인해 영화계로 불똥이 튀더니 이젠 연예계 전체로 확산돼가고 있다.
이미지가 생명인, 대중에게 친숙한 존재인 연예인들에게 거짓말은 큰 영향을 미친다. 사극에서 왕이나 장군 등 위인을 도맡아 연기했던 최수종이 허위 학력 파문에 휩싸인 건 그래서 대중에게 더욱 충격적이었다. 노력하는 연기자였고 성실한 가장으로 알려져온 그의 인생에 커다란 흠집을 냈다.
그래도 최수종은 대학 측에서 확인을 해줘 그의 해명이 거짓말이 아니었음이 밝혀졌지만 같은 시기 파문의 중심이 된 주영훈은 그마저 거짓말로 드러나 아예 방송에 얼굴을 내밀지 못하게 됐다.
오미희 역시 처음엔 해명이 거짓인 줄 알았으나 당시 제대로 된 해명을 했다는 게 뒤늦게 밝혀지기도 하는 등 참담한 며칠을 보냈다.
학위 정정을 요청하느라 부산하다는 대학 교수 사회처럼 연예계도 포털 사이트를 상대로 학력란을 바로잡느라 정신없다는 말이 들린다.
전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을 한 것이 드러난 황우석 사태는 대한민국을 큰 혼란에 빠뜨렸다. 각종 '가짜'에 휘둘리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의 병폐가 계속 까발려지고 있는 것.
그런데 이런 움직임을 보고 있자니 '연예인들만?'이란 생각이 든다. 허위 학력 파문의 칼날이 이제 연예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네티즌들이 인기 연예인들의 학력을 포털 사이트들을 통해 검색하고 이상하다 싶으면 파헤친다. 그 후 결정적 단서를 발견하면 보도가 되고 파문이 확산된다. 연예계로 관심이 옮겨지면서 다른 분야는 잠잠해졌다. 사실 학력과 연예인으로서의 자질은 별개다. 연예인들은 대중에게 검증받는다. 대중에게 사랑받으면 스타가 되고, 대중에게 사랑받지 못하면 잊혀진다. 이 과정에서 '서울대 출신 김태희'처럼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결정적이지는 않다. 학위가 임용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학 교수 사회나 연구자들, 끈끈한 학연으로 인맥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이득을 취하는 정치계ㆍ경제계ㆍ관료계보다는 그 영향이 훨씬 덜한 분야다. 또한 가만 앉아서 스타들의 후광을 누렸던 대학들의 잘못도 초반엔 짚어지지 않았다. 그 사이 대학들은 은근슬쩍 포털 사이트에게 정정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런데 왜 연예계로 뉴스의 중심이 옮겼을까. 한 지인이 명료하게 답했다. "네티즌들이 국회의원 ○○○라 말하면 관심 있어? 없어. 이름도 모를 걸." 젊은 세대들이 정치와 사회에 관심 없고, 시시콜콜한 연예계 동정이 '가장 많이 본 뉴스' 1위에 오르는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현상이다. 그렇다고 이런 사회적 큰 파문도 연예계로만 집중돼야 할까. 허위 학력 파문으로 인해 더욱 철저한 검증 시스템이 작동해야 하고, 학력이 기준이 아닌 실력이 기준인 세상으로 조금이나마 발전하는 과정이 되려면 호기심보다는 정작 더 날카로운 잣대를 들이대야 할 곳에 정확히 들이대야 한다. 김가희 기자 kahee@yna.co.kr (서울=연합뉴스)
네티즌들이 인기 연예인들의 학력을 포털 사이트들을 통해 검색하고 이상하다 싶으면 파헤친다. 그 후 결정적 단서를 발견하면 보도가 되고 파문이 확산된다. 연예계로 관심이 옮겨지면서 다른 분야는 잠잠해졌다. 사실 학력과 연예인으로서의 자질은 별개다. 연예인들은 대중에게 검증받는다. 대중에게 사랑받으면 스타가 되고, 대중에게 사랑받지 못하면 잊혀진다. 이 과정에서 '서울대 출신 김태희'처럼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결정적이지는 않다. 학위가 임용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학 교수 사회나 연구자들, 끈끈한 학연으로 인맥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이득을 취하는 정치계ㆍ경제계ㆍ관료계보다는 그 영향이 훨씬 덜한 분야다. 또한 가만 앉아서 스타들의 후광을 누렸던 대학들의 잘못도 초반엔 짚어지지 않았다. 그 사이 대학들은 은근슬쩍 포털 사이트에게 정정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런데 왜 연예계로 뉴스의 중심이 옮겼을까. 한 지인이 명료하게 답했다. "네티즌들이 국회의원 ○○○라 말하면 관심 있어? 없어. 이름도 모를 걸." 젊은 세대들이 정치와 사회에 관심 없고, 시시콜콜한 연예계 동정이 '가장 많이 본 뉴스' 1위에 오르는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현상이다. 그렇다고 이런 사회적 큰 파문도 연예계로만 집중돼야 할까. 허위 학력 파문으로 인해 더욱 철저한 검증 시스템이 작동해야 하고, 학력이 기준이 아닌 실력이 기준인 세상으로 조금이나마 발전하는 과정이 되려면 호기심보다는 정작 더 날카로운 잣대를 들이대야 할 곳에 정확히 들이대야 한다. 김가희 기자 kah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