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래 민영화’ 들키자 뉴스 동원
대화록 “극비리 추진” 나오는데
“비밀회동 아니다” 연일 억지 주장
대화록 “극비리 추진” 나오는데
“비밀회동 아니다” 연일 억지 주장
<문화방송>(MBC)은 경영진이 비밀리에 추진한 민영화 계획이 폭로되자 자사 뉴스를 동원해 연일 사실관계와 사안의 본질을 왜곡하고 나섰다. 뉴스가 공영방송의 본분을 잊고 경영진의 방탄조끼 구실을 하는 데 대해 전파 사유화라는 비판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문화방송 <뉴스데스크>는 16일, <한겨레>가 이진숙 문화방송 기획홍보본부장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의 회의를 ‘비밀 회동’이라고 한 것은 교묘한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권재홍 앵커는 “만남의 장소인 정수장학회 이사장실이 비밀스런 회동을 할 만큼 은밀한 곳일까요”라고 말했고, 뒤이은 기사는 “정수장학회 사무실은 <경향신문>이 위치한 정동빌딩 11층으로 누구나 오갈 수 있는, 시시티브이로 외부 출입자 확인이 가능한 곳”이라고 주장했다. 비밀 회동은 일반인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안가 같은 곳에서 해야 붙일 수 있는 표현이라는 투다. 그러나 3명이 정수장학회 이사장실에서 은밀히 논의했고, 당시 이 본부장은 “극비리에 추진”한다고 말한 게 대화록에 나온다. 문화방송 최대 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나, 3~4명을 빼놓고는 문화방송 구성원들이 전혀 모르게 지분 매각을 추진한 사실에 대해선 아예 눈을 감은 것이다.
<뉴스데스크>는 전날에도 ‘한겨레의 왜곡’과 민영화 추진의 정당성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이날 <뉴스데스크>는 여야 공방이라는 틀 속에서 민주통합당의 비판을 간략히 소개했을 뿐, 대선 목전에 ‘정치적 임팩트(영향)’를 거론하며 매각 대금을 장학금으로 쓰는 방안을 크게 홍보하는 방안까지 논의했다는 사태의 핵심은 외면했다. 또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들에게 보고하지 않은 채 19일 발표를 추진하고, 법률에 근거한 독립적 공영방송인 문화방송의 지배구조를 임기제 사장이 바꾸려는 데 따른 ‘월권’ 또는 ‘탈법’ 시비에도 눈을 감았다.
문화방송 노조는 16일 ‘특보’에서 “<뉴스데스크>를 자신(김재철 사장)의 변론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사쪽을 비판했다. 노조 산하 민주언론실천위원회의 이재훈 간사는 “사쪽 입장을 강변하려고 공공 재산인 전파를 사적으로 남용한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신문방송학)는 “진실 보도가 우선인 방송에서 기자들이 왜곡 보도를 할 정도로 공영방송이 소수에 의해 사유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음성원 기자 esw@hani.co.kr
[관련 영상] ‘MB 남자’ 김재철의 정수장학회 커넥션? [김뉴타 193]
<한겨레 인기기사>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