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프라임(교육방송 밤 9시50분) ‘33분마다 떠나는 사람들’의 2부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편.
자살률 1위 한국, 사람들은 왜 자살을 할까
다큐프라임(교육방송 밤 9시50분) 자살 문제를 다룬 ‘33분마다 떠나는 사람들’의 2부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편.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 중 8년째 자살률 1위로, 33분마다 1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 투신 자살을 시도한 사람이 제지당하면 어떻게 될까? 94%가 다시 자살을 감행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일본 후쿠이현 관광지 도진보라는 절벽 앞에서 작은 떡집을 하는 노인은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자살 시도자들에게 말을 걸고 구해냈고, 그 결과 도진보에서의 자살률이 절반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사회적 고립감’을 줄여주고 ‘당신은 혼자가 아니’라고 말해주는 이웃과 사회가 자살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마음, 타인에게 짐이 된다는 부담감, 고통에 대한 내성 등을 자살의 3대 심리 조건으로 꼽은 토머스 조이너 교수의 이론, 한국 형사정책연구원이 유서 400통을 통해 분석한 자살자의 심리 등을 살펴본다. 미국, 캐나다, 일본의 자살 대책도 들어본다. 자살을 막기 위해 일본 정부가 한 해에 투입하는 예산은 3265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우리 정부의 100배에 달하는 규모라고 한다.
현대화로 사라지는 후투티 세계의 눈(교육방송 밤 11시15분) ‘후투티의 귀환’편. 후투티는 몸집은 작지만 해발 3000m 높이까지 날아올라 알프스산맥을 넘나들 정도로 활동력이 왕성한 새다. 그러나 농업 현대화 등으로 머물 곳이 없어지면서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 오스트리아 목수 만프레트 에켄펠너는 후투티를 위해 너른 포도밭 곳곳에 새집을 만들었다. 새집이 너무 낮으면 담비 같은 포식자가 쉽게 침입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찌르레기가 새집을 차지해버릴 수도 있어, 새집 만들기도 쉬운 일은 아니다. 포도밭에서 해충을 잡아먹어 자연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후투티를 보호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 모두를 위한 일이라고 한다.
‘적조’ 대처 시스템 있나? 시사기획 창(한국방송1 밤 10시) ‘적조의 역습’편. 올해 여름 우리 바다에 적조로 인해 사상 최악의 피해가 나타났다. 양식 어류 폐사로 250억원의 손실을 봤다. 예년보다 한 달 빨리 나타난 데다 급속도로 번져 어민들은 ‘변종이 나타났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철저한 관찰 시스템 덕분에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적조주의보를 발령했다고 하나, 발령 이전에 첫 피해가 발생했고 경보 발령 때에는 이미 많은 피해가 나타난 뒤였다. 한동안 적조 피해가 없다고 적조 연구 인력을 대폭 줄인 결과였다고 한다. 적조 이론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데, 예보 시스템 등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한다.
현대화로 사라지는 후투티 세계의 눈(교육방송 밤 11시15분) ‘후투티의 귀환’편. 후투티는 몸집은 작지만 해발 3000m 높이까지 날아올라 알프스산맥을 넘나들 정도로 활동력이 왕성한 새다. 그러나 농업 현대화 등으로 머물 곳이 없어지면서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 오스트리아 목수 만프레트 에켄펠너는 후투티를 위해 너른 포도밭 곳곳에 새집을 만들었다. 새집이 너무 낮으면 담비 같은 포식자가 쉽게 침입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찌르레기가 새집을 차지해버릴 수도 있어, 새집 만들기도 쉬운 일은 아니다. 포도밭에서 해충을 잡아먹어 자연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후투티를 보호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 모두를 위한 일이라고 한다.
‘적조’ 대처 시스템 있나? 시사기획 창(한국방송1 밤 10시) ‘적조의 역습’편. 올해 여름 우리 바다에 적조로 인해 사상 최악의 피해가 나타났다. 양식 어류 폐사로 250억원의 손실을 봤다. 예년보다 한 달 빨리 나타난 데다 급속도로 번져 어민들은 ‘변종이 나타났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철저한 관찰 시스템 덕분에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적조주의보를 발령했다고 하나, 발령 이전에 첫 피해가 발생했고 경보 발령 때에는 이미 많은 피해가 나타난 뒤였다. 한동안 적조 피해가 없다고 적조 연구 인력을 대폭 줄인 결과였다고 한다. 적조 이론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데, 예보 시스템 등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