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손끝으로 세상 느끼도록…점자책 출판에 눈 떠

등록 2013-09-27 19:27수정 2013-09-29 13:52

세상의 모든 영상
<한겨레포커스> ‘희망의 점’, 육근해 한국점자도서관 관장
http://www.hanitv.com/39267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잃으면 두번 실명하는 것과 같다.”

1969년 한국 최초 점자도서관인 ‘한국점자도서관’을 세운 육병일 선생(1927~1997)은 점자의 사회적 중요성을 일깨웠다. 두살 때 시력을 잃은 육 선생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시각장애인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지식”이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었다.

아버지의 신념과 헌신은 딸에게 이어졌다. 육근해 한국점자도서관장은 일곱살 때부터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그 곁을 떠나지 않았다. 딸은 아버지의 잃어버린 눈이었고, 아버지는 딸에게 세상을 가르친 스승이었다. 아버지가 받은 사회적 차별과 냉소를 지켜봤고, 세상과 당당하게 맞서면서 묵묵히 장애인을 위해 헌신한 아버지의 삶을 배웠다. 육 관장은 “옆에서 지켜보면서 늘 자랑스러웠고 아버지의 일을 이어받는 것은 나에게 의무였다”고 말했다.

서울시 암사동에 자리한 한국점자도서관은 시각장애인들에게 지식의 보고다. 점자책 8만여권을 확보하고 무료로 빌려준다. 육 관장은 점자도서관 운영뿐 아니라 점자책으로 영역을 넓혔다. 도서출판 ‘점자’는 사물의 특징을 만지면서 느낄 수 있는 촉각 도서와 장애 아이들이 비장애 아이들과 함께 볼 수 있는 점자라벨 도서 등을 출판한다. 시각장애 아이들이 사물의 개념과 느낌을 깨치고, 비장애 아이들과 소통하고 공존하도록 돕는 것이 도서출판 점자가 삼는 목표다. 육 관장은 “아버지를 모시고 다니면서 내가 본 환경을 설명할 때가 제일 어려웠다. 어떻게 설명해야 내가 보는 것만큼 이해할 수 있을까, 시각장애인에게 어떻게 사물 개념을 가르쳐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시작한 것이 점자책 출판이었다”고 말했다.

육 관장은 “시각장애 아이를 가진 어머니가 눈물을 글썽이면서 우리가 만든 점자책에 고마움을 표시할 때 내가 하는 일이 결코 작지가 않구나라고 느낀다. 세상이 아름답고 행복해지는 데 보탬이 된다면 기쁜 마음으로 죽을 때까지 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눈으로 보는 세상만큼 손끝으로 느끼는 세상도 아름다워야 하기 때문이다.

정주용 <한겨레티브이> 피디 j2yong@hani.co.kr

'희망의 점(點)'을 찍는 사람 육근해 한국점자도서관장[한겨레포커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