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아웃(영국·에바 웨버 감독·47분)
EBS 국제다큐영화제 내일 개막
인디스페이스 등 극장서도 상영
피디들 ‘꼭 봐야 하는 5편’ 추천
인디스페이스 등 극장서도 상영
피디들 ‘꼭 봐야 하는 5편’ 추천
제10회 <교육방송>(EBS) 국제다큐영화제가 18일 개막한다. 출품작은 총 53편. 25일까지인 영화제 기간 동안 교육방송뿐만 아니라 인디스페이스, 고려대 케이유(KU) 시네마트랩과 케이유 시네마테크, 이비에스 스페이스의 스크린에서도 고품격 다큐 영화를 만날 수 있다. 교육방송 피디들이 추천하는 ‘꼭 봐야 하는 다큐 영화’를 추려봤다.
■ 블랙아웃(영국·에바 웨버 감독·47분) 서아프리카의 빈국 기니의 인구 중 80%는 전기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시험 기간이 되면 아이들은 5㎞, 10㎞를 걸어 도시의 불빛을 찾아간다. 공항과 터미널 불빛 아래로 삼삼오오 모여드는 아이들의 공부를 향한 열정은 새벽이 되도록 식을 줄 모른다.(21일 밤 9시25분, 26일 새벽 1시45분)
“짧은 시간에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룬 나라의 사람들이 보면 공감할 만한 내용이다. 공항 활주로 불빛에 의존해 공부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21세기 ‘형설지공’이 생각나기도 한다. 실제 이야기이기 때문에 진실이 주는 감동이 있다.”(권혁미 피디)
■ 부즈카시(캐나다·나지브 미르자 감독·81분) 타지키스탄 ‘국민 스포츠’로 불리는 부즈카시는 말을 타고 달리며 죽은 염소를 골대에 집어넣는 거친 경기다. 기업적 목축을 하는 부자 쿠르셰드는 신참 아스카르와 변칙적 전술을 짜고 부즈카시 지역 챔피언 아잠과의 대결에 나선다.(19일 저녁 7시15분)
“아잠은 전통적인 스포츠 방식을 바꾼다고 쿠르셰드를 비난하지만, 쿠르셰드는 아잠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비웃는다.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 스포츠에도 적용된 것뿐인지도 모른다. 타지키스탄의 전통 스포츠를 감상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전통과 현실의 충돌에 대한 고민을 담은 작품이다.”(박성웅 피디)
■ 더 게이트키퍼스(이스라엘·도르르 모어 감독·95분) 이스라엘 3대 정보기관 중 하나인 신베트는 국내 정보를 담당하며 팔레스타인의 테러와 맞서 왔다. 지난 30여년간 신베트를 이끈 전임 수장 6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었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준다.(20일 저녁 8시55분)
“이스라엘이 어떻게 팔레스타인과 관계를 맺어왔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테러리스트라고 의심되는 사람의 차량만 폭파하거나, 측근을 통해 테러리스트에게 휴대폰을 배달시켜 도청을 하다가 몇 달 뒤 휴대폰을 폭파해 테러리스트를 제거하는 장면 등이 나온다.”(오정호 피디)
■ 10%: 누가 영웅을 만드는가(이스라엘·요아브 샤미르 감독·90분) 사람을 구하기 위해 지하철 선로로 뛰어든 뉴욕 시민, 목숨을 걸고 집에 유대인을 숨겨준 몇몇 독일인들. 과연 그들의 숨겨진 공통점은 무엇인가? 샤미르 감독은 자신이 직접 출연해 ‘누가 영웅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긴 여행을 떠난다.(20일 밤 12시20분)
“감독은 할머니의 두 남편을 추적해 인터뷰하기도 하고, 침팬지를 따라가 보기도 한다. 애니메이션도 삽입돼 있고, 전반적으로 위트가 넘친다. 영웅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겹지도 않다. 소재가 참신하고 희한하고 창의적이다.”(이지현 피디)
■ 프레다, 그녀만이 알고 있는 비틀스(미국·라이언 화이트 감독·86분) 1960년, 음악계 미다스의 손인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한 소녀를 비틀스의 비서로 발탁한다. 리버풀의 수줍은 10대 소녀였던 프레다 켈리는 1960년부터 1971년까지 전세계를 강타한 비틀스의 곁을 지킨다. 비틀스의 유일한 개인 비서이자 팬클럽 매니저였던 프레다가 50년 만에 비틀스의 숨겨진 이야기를 꺼낸다.(21일 오후 1시35분, 24일 저녁 8시20분)
“음악 다큐멘터리인데, 비틀스가 백스테이지에서 어떻게 놀았나에 집중한다. 아이돌에 열광하는 10대부터 비틀스를 기억하고 사랑하는 기성세대까지 공감할 수 있는 다큐다. 요소요소에 깔리는 비틀스 음악은 보너스다.”
(권혁미 피디)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사진 교육방송 제공
부즈카시(캐나다·나지브 미르자 감독·81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