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테마기행-이탈리아 문명기행(교육방송 저녁 8시50분) 3부 ‘지중해의 심장, 시칠리아’ 편.
‘소금의 도시’ 품은 시칠리아
세계테마기행-이탈리아 문명기행(교육방송 저녁 8시50분) 3부 ‘지중해의 심장, 시칠리아’ 편. 이탈리아 본토와 메시나 해협을 사이에 둔 시칠리아는 지중해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역사적으로 여러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특히 ‘백색의 황금’ 소금을 둘러싼 쟁탈전이 치열했다. ‘소금의 도시’라 불리는 트라파니는 유럽에서 가장 질 좋은 소금을 생산하는데, 소금밭은 여전히 1000년 전의 생산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시칠리아는 역사의 부침 속에서 다양한 문화가 결합된 여러 유산들을 남겼다. 특히 13세기 관용의 정책을 펼쳤던 프리드리히 2세는 시칠리아에 문화적 부흥기를 가져왔는데, 시칠리아 섬 최대 도시인 팔레르모는 비잔틴·이슬람·노르만 세가지 양식이 조화롭게 연결되어 있어 독특하지만 우아한 자태를 뽐낸다. 비잔틴-노르만 건축의 백미, 황금 모자이크의 결정판인 몬레알레 대성당과 숨 쉬는 듯 부드러운 굴곡을 가진 사거리 콰트로 칸티, 그리고 30여개의 누드 조각이 장식되어 ‘수치의 광장’으로도 불리는 프레토리아 광장은 팔레르모에서의 하루를 더욱 풍요롭게 한다. 독일의 대문호 괴테는 팔레르모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라고 칭송했다.
‘생태 95%는 일본산’ 알고 먹나요? 불만제로 업(문화방송 저녁 6시20분)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공포가 커진 가운데, 최근 일본산 고등어가 국내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원산지 표시에 대한 우려도 급증했다. 허위 표시가 기승을 부리는 일본산 수산물 유통 현장을 고발한다. 수산시장의 일본산 생태는 대부분 생태 전문 식당에 판매됐는데, 제작진이 추적한 식당 7곳 중 6곳은 원산지를 러시아나 캐나다로 표시했다. 일본산은 수입이 금지됐다고 속이는 이들이 많지만, 생태는 95%가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다. 우리는 올해 수입된 일본산 생태의 원산지를 제대로 알고 먹었을까? 건강 장수의 비결은 ‘일’ 생로병사의 비밀(한국방송1 밤 10시) ‘건강하게 나이드는 법-즐기며 일하라’ 편. 일본의 장수 마을로 알려진 나가노현에서 잡화점을 운영하는 100살 마쓰다 할머니는 손님과의 대화를 주도할 만큼 정정하고 총명하다. 그 나이에도 대학에서 춤을 가르치고 그림동화책을 내는 등 의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한 국내 대학이 일하는 노인과 일하지 않는 노인의 건강 상태를 비교한 결과, 일하는 노인은 비만도가 낮아 심혈관 질환이나 암 발병 위험도가 낮았다. 실제로 일을 통한 건강 증진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3주간 지원자들의 일자리 체험을 통해 심리와 인지 능력, 뇌 건강 상태 변화를 관찰했다.
‘생태 95%는 일본산’ 알고 먹나요? 불만제로 업(문화방송 저녁 6시20분)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공포가 커진 가운데, 최근 일본산 고등어가 국내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원산지 표시에 대한 우려도 급증했다. 허위 표시가 기승을 부리는 일본산 수산물 유통 현장을 고발한다. 수산시장의 일본산 생태는 대부분 생태 전문 식당에 판매됐는데, 제작진이 추적한 식당 7곳 중 6곳은 원산지를 러시아나 캐나다로 표시했다. 일본산은 수입이 금지됐다고 속이는 이들이 많지만, 생태는 95%가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다. 우리는 올해 수입된 일본산 생태의 원산지를 제대로 알고 먹었을까? 건강 장수의 비결은 ‘일’ 생로병사의 비밀(한국방송1 밤 10시) ‘건강하게 나이드는 법-즐기며 일하라’ 편. 일본의 장수 마을로 알려진 나가노현에서 잡화점을 운영하는 100살 마쓰다 할머니는 손님과의 대화를 주도할 만큼 정정하고 총명하다. 그 나이에도 대학에서 춤을 가르치고 그림동화책을 내는 등 의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한 국내 대학이 일하는 노인과 일하지 않는 노인의 건강 상태를 비교한 결과, 일하는 노인은 비만도가 낮아 심혈관 질환이나 암 발병 위험도가 낮았다. 실제로 일을 통한 건강 증진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3주간 지원자들의 일자리 체험을 통해 심리와 인지 능력, 뇌 건강 상태 변화를 관찰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