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웃음 찾은 ‘웃찾사’ 개그맨들, 정말 웃기고 싶다

등록 2013-11-20 19:33수정 2013-11-22 14:04

‘종규삼촌'
‘종규삼촌'
금요일 밤 11시로 자리 잡으며
실직했던 개그맨들 의욕 넘쳐
어설프면 통편집 공포 있지만
굿닥터 성대모사·종규삼촌 인기
“사람들에게 웃음 찾아주고 싶어”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스비에스·<웃찾사>)의 과거는 화려했다. 한때 ‘미친소’, ‘화산고’ 등의 꼭지로 <개그콘서트>(한국방송2)를 넘어서는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인기에 안주하고 소재가 고갈되면서 점점 쇠락해갔고 최고 28.2%(닐슨코리아, 수도권 기준)까지 치솟았던 시청률은 3%대로 곤두박질쳤다. 결국 2010년 10월, 대체 프로그램 없이 <웃찾사>는 폐지됐다. 에스비에스 개그맨들이 한꺼번에 실업자가 되는 순간이었다.

<웃찾사>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개그맨 이종규(33)는 말한다. “이유가 뭐 있겠어요. 우리가 재미없어서 안 된 것인데. 재미있었다면 계속 가지 않았겠어요?” 그는 <웃찾사> 폐지에 즈음해 서울 노량진에서 붕어빵 장사를 시작했다. “처음엔 괜찮았는데 점점 매출이 떨어졌어요. 혼자서 16시간 장사한 적도 있었는데, 하루는 붕어빵을 굽는데 한 팬이 저를 알아보더라고요. 다른 손님의 불만을 듣는 동안 그 팬은 돈만 내고 조용히 자리를 떴는데 정말 그때를 잊을 수 없어요. <개그콘서트> 녹화 보고 온 사람들이 가게에서 프로그램 얘기할 때는 진짜 부러웠고요.”

2007년 데뷔했지만 잘된 꼭지가 없어 “지금도 신인 같다”는 안시우(30)도 말한다. “<웃찾사> 전성기 때는 시청자였고, 없어질 때는 <웃찾사> 안에서 중간급 개그맨이었어요. 폐지한다고 했을 때 개그맨들이 출연료 안 받고 방송하겠다고 할 정도로 진짜 간절히 매달렸는데 없어지더라고요. 1년 동안 쉬면서 <개그투나잇> 준비하는데 나라 잃은 슬픔이 뭔지 알겠더라고요.”

<웃찾사>는 지난 4월14일, 폐지 3년 만에 시즌2로 부활했다. 하지만 방영 시간대가 문제였다. <개그투나잇>이 방송되던 토요일 심야 시간대를 버리고 일요일 오전에 방송을 탔기 때문이다. 이후 에스비에스는 가을 개편에 맞춰 10월11일부터는 금요일 밤 11시대로 방송 시간을 옮겼다. 비로소 <웃찾사> 본연의 무대로 돌아온 셈이다. “<웃찾사>가 부활했을 때 3주 동안은 정말 열심히 했었죠. 그런데 일요일 오전 방송이라 그런지 피드백이 전혀 없더라고요. 이젠 밤 시간대로 옮겼으니 ‘여기가 마지막이다’ 하고 열심히 해야죠. 여기서 무너지면 또 없어질 수 있으니까요.”(이종규)

‘인과응보’, ‘굿닥터’
‘인과응보’, ‘굿닥터’

<웃찾사>는 대학로 공연과 연계돼 있다. 웃찾사스투홀에서 먼저 개그를 선보이고 반응이 좋으면 방송에 올리는 식이다. 공연은 매일 계속되지만 관객이 3명밖에 없어 공연을 취소한 적도 있다. 8명만 앉혀놓고 무대에서 웃음을 판 적도 있었고, 아무리 노력해도 박수가 안 나오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웃찾사> 방송을 밤 시간대로 옮긴 뒤 서서히 반응이 오고 있다.

드라마 <굿닥터>의 주원 성대모사로 인지도를 끌어올리고 있는 안시우는 “요즘엔 공연장에 올라가면 ‘어!’ 하고 알아봐주는 관객이 많다”고 했다. <개그투나잇> 때부터 ‘종규삼촌’ 꼭지를 해온 이종규는 “최근에 초등학교 4학년 아이로부터 팬레터를 받았다”며 웃었다. 그는 <웃찾사> 무대를 위해 별도의 출연료도 없는 대학로 무대에 1주일에 10차례씩 선다.

<웃찾사>는 격주로 꼭지 심사가 있다. 개그맨들이 아이디어를 짜 오면 피디와 작가들이 평가하는 식이다. <개그콘서트>와 비슷한 형식이다. 8월부터 <웃찾사>를 이끄는 김재혁 피디는 “꼭지가 좋으면 바로 올리지만 조금 미숙하다 싶으면 한번 더 심사한 뒤 방송 여부를 결정한다”고 했다.

<웃찾사>는 매주 수요일 녹화를 하는데, 녹화 때는 16꼭지를 하지만 방송에선 12~13꼭지만 나간다. 베테랑 강성범·한민관부터 아직 새내기인 박지현까지 ‘올통’(통편집)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김재혁 피디는 “일요일 아침에는 어린 친구들이나 어르신 대상의 개그를 해야 했다면 금요일 밤은 20~40대 성인 취향에 맞아야 하기 때문에 개그의 패턴을 바꾸고 있다. 에스엔에스(SNS) 등을 통해 시청자 반응이 많아지면서 개그맨들이 예민해졌고, 긴장감도 높아진 면이 있다”고 했다. <웃찾사>는 매주 한 꼭지 이상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부활했지만, <웃찾사>는 갈 길이 멀다. ‘인과응보’, ‘굿닥터’(왼쪽 사진), ‘나쁜 기집애’, ‘종규삼촌’(오른쪽) 등 인기 꼭지도 있지만 강한 캐릭터에 의한 개그가 아직은 부실하다. 개그맨 인지도도 많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금요일 밤 시간대로 옮긴 뒤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와 희망티브이 등의 중계 때문에 두 차례 결방되면서 흐름마저 끊기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시청률 또한 3~5%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개그맨들은 오늘도 무대에서 온몸으로 말하고 있다. “웃기고 싶다”고, 그리고 “사람이 좋아지는 개그로 사람들에게 웃음을 찾아주고 싶다”고.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사진 에스비에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