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소녀들의 글로벌, 21세기의 로컬

등록 2014-03-10 15:33

소녀시대(왼쪽)와 2NE1이 새 앨범을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 그들의 앨범 안에서 글로벌과 로컬이 만나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다.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제공
소녀시대(왼쪽)와 2NE1이 새 앨범을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 그들의 앨범 안에서 글로벌과 로컬이 만나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다.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제공

무국적의 감수성으로 무장한 소녀시대의 <미스터 미스터>와
90년대 한국 댄스 감수성이 나타난 2NE1 <크러쉬>
2월24일, 소녀시대의 네 번째 EP <미스터 미스터>가 공개됐다. 모두 6곡이 수록됐다. 2NE1은 2월27일 10곡이 수록된 정규 2집 <크러쉬>를 공개한 뒤 3월1일과 2일에 단독 콘서트를 진행했다. 미국의 공연기획사 라이브네이션과 기획한 월드투어의 일환이었다. <미스터 미스터>는 유튜브에 공개된 지 이틀 만에 조회 수 350만 건을 넘겼고, 일본·미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노르웨이·캐나다의 아이튠즈 차트에서 모두 10위권에 들었다. <크러쉬>는 빌보드 앨범 차트에 61위로 데뷔했고(한국 앨범으로는 최고 기록), 타이틀곡 <컴백홈>은 ‘월드 디지털 송스’ 차트(온라인 음원 차트로 보면 된다) 5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아이돌 팝, 이른바 ‘케이팝’(K-POP)의 대표주자로 여겨지는 두 걸그룹의 복귀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고 있다. 이건 꽤 중요한 지점이다. 케이팝이란 스타일이 어떤 전환기를 지났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징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소녀시대의 <미스터 미스터>는 미국의 프로듀싱팀 ‘더언더독스’의 곡으로, 이들은 비욘세와 크리스 브라운 등 팝스타들과 작업한 경력이 있다. 더언더독스와 SM엔터테인먼트의 관계는 이들이 SM에 먼저 연락하며 이어졌는데, 그 시기는 대략 2009~2010년 사이였다. 나는 케이팝을 이해하는 데 이 시기가 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유튜브가 음악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아이튠즈가 미국의 음악시장을 음원 중심으로 완전히 재구성한 시점이었으며, 한국의 메이저 기획사들이 거의 동시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영어와 한국어로 뮤직비디오를 프로모션하는 한편, 막 실체화되던 해외 팬덤을 위한 별도의 프로모션이 작동하기 시작한 때였기 때문이다. 케이팝이란 음악 스타일이 국제적으로 확산되는 (나아가 장르화되는 지금의) 맥락에는 음악적 특성 외에 온라인 생태계와 플랫폼의 지구적인 변화가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걸 새삼 상기할 필요가 있다.

세계시장과 팬덤 사이

<미스터 미스터>의 수록곡들은 <백허그>를 제외하고는 모두 록 비트를 베이스로 삼거나 유로댄스팝 스타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굿바이>는 원 디렉션과 셀레나 고메즈 같은 팝스타들의 곡을 만든 린디 로빈스와 미국 밴드 스파이몹의 멤버 브렌트 파시크, 그리고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제나 앤드루스가 참여한 곡이고, <솔>은 스웨덴의 작곡 그룹 ‘디자인뮤직’(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 <아이 갓 어 보이>, 이효리의 <배드걸스>를 만들며 케이팝의 인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작곡 그룹)의 곡이다. 1집의 <허니> <컴플리트> <팅커벨>을 작곡한 인그리드 스크레팅의 귀여운 발라드인 <백허그>는 앨범의 커플링 곡(타이틀과 쌍을 이루는 곡)으로 <미스터 미스터>와는 대구를 이루며 일반적인 팝 소비자와 오랜 지지층(팬덤) 사이의 균형을, 다시 말해 세계시장에 진입한 여성 보컬그룹이자 팬덤과 밀착된 아이돌 그룹이란 정체성 사이의 무게중심을 잡는다.

<크러쉬>는 이제까지 2NE1이 거둔 성취를 집대성했다는 인상을 준다. 집중도와 완성도가 높다. 물론 기존의 거친 이미지가 뭉툭해진 것처럼 보이긴 하는데, 첫 곡 <크러쉬>가 대놓고 2NE1이 소비되는 지점을 명시한다면(“난 모든 여자들의 뜨거운 crush/ 너의 심장을 뛰게 하는 rush/ 예쁜 언니들은 날 좋아해/ 날 좋아하면 예뻐지니까”) 그 반대편에 있는 <해피>는 이들의 감정적인 면을 부각시킨다(“너 없이 I’m not happy but I hope you’re happy/ 멀리서 난 널 지켜볼게”). 그럼에도 각 곡에 적용된 리듬의 변화가 곧 전체 앨범의 조화로 이어지는, 힙합과 리듬앤드블루스의 분위기가 록 스타일로 수렴되면서 특유의 그루브를 강조하는 구성은 강한 인상을 남긴다.

앨범을 지향하는 태도가 만들어낼 가치는

이 맥락에서 <미스터 미스터>의 구성과 완성도는 꽤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정규앨범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완성도를 지향할 수밖에 없던 <크러쉬>에 비해 <미스터 미스터>는 (이른바) ‘미니앨범’으로서 CD는 팬덤을, 음원은 일반 시장을 겨누는 관습에서 제작돼도 무방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여기엔 회사의 지향 차이도 한몫한다고 본다. 소녀시대의 <미스터 미스터>가 가요 같지 않은, 무국적의 감수성으로 무장한 ‘글로벌 팝’이라면 2NE1의 <크러쉬>는 동시대의 지구적 시장에서 유행하는 요소들을 ‘서태지와 아이들’로 대변되는 한국의 1990년대 댄스가요의 감수성과 결합한 ‘로컬 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그룹/앨범의 비교는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로도 확장돼야 한다. 케이팝은 사실 회사의 브랜드가 중요한 산업이다. 지구적 시장을 배경으로 각 회사는 자사의 브랜드와 비전을 판매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추가적으로 이런 질문이 필요할 것 같다. 케이팝은 영어 중심의 문화권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까. 거기에 ‘로컬리티’란 것은 얼마나 중요할까. 무엇보다 디지털 싱글로 재편된 시장에서 ‘앨범’이란 맥락을 지향하는 태도는 어떤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차우진 대중음악평론가

▷ 한겨레21 기사 더 보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